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덕의 생래성을 둘러싼 현대 도덕 심리학 논쟁 검토- 마크 하우저의 도덕 심리학을 중심으로-Reviewing moral psychology surrounding innate nature of morality-focusing on moral psychology of M. Hauser

Other Titles
Reviewing moral psychology surrounding innate nature of morality-focusing on moral psychology of M. Hauser
Authors
김성한
Issue Date
Dec-2013
Publisher
한국동서철학회
Keywords
innate biases model; moral faculty; moral psychology; principles and parameters model; trolley problem; 도덕 능력; 도덕 심리학; 원리와 매개 변항 모델; 생래적 경향성 모델; 활차 문제
Citation
동서철학연구, no.70, pp 427 - 449
Pages
23
Journal Title
동서철학연구
Number
70
Start Page
427
End Page
44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436
DOI
10.15841/kspew..70.201312.427
ISSN
1225-1968
Abstract
도덕 심리학은 인간의 도덕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학문 분야로, 오늘날의 도덕 심리학은 학문 융합적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과거와는 그 성격을 달리한다. 이러한 분야에서의 논쟁에서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는 도덕이 생래적인지의 여부다. 하우저(M. Hauser)는 이러한 논쟁에서 도덕 능력이 생래적으로 우리에게 주어졌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그는 촘스키의 언어학을 끌어와 우리에게 언어 능력이 생래적으로 주어졌듯이 도덕 능력 또한 생래적으로 주어졌다고 주장한다. 도덕에서의 '원리와 매개 변항 모델'(the Principles and Parameters Model)이라 불리기도 하는 이 모델에 따르면 우리는 생래적인 도덕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능력의 보이지 않는 조정을 받아 즉각적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된다. 하우저는 이러한 모델을 뒷받침하기 위해 활차의 딜레마와 도덕에서의 자극 부족 논변 등을 제시하는데, 그의 입장은 언어학과의 유비가 적절한지, 생래적인 도덕 능력이 무엇인지 등 여러 방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된다. 한편 이러한 모델이 우리의 도덕적 특성을 적절하게 보여주지 않는다는 입장에서 프린츠(J. Prinz)는 도덕 능력의 생래성을 부정하고, 스리파다(C. Sripada)는 생래적 경향성 모델을 제시하는데, 이들 또한 문제가 있긴 마찬가지다. 이러한 논의들 중에서 어떤 입장이 가장 설득력이 있는지는 앞으로 여러 학문 분야의 학자들이 공조해서 파악해야 할 과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