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동기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 Other Title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 Authors
- 임선아; 강성은
- Issue Date
- Sep-2013
- Publisher
- 한국교육심리학회
- Keywords
- 성취동기; 성취동기측정도구; 갈매기의 꿈; Achievement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Jonathan Livingston Seagull
- Citation
- 교육심리연구, v.27, no.3, pp 575 - 593
- Pages
- 19
- Journal Title
- 교육심리연구
- Volume
- 27
- Number
- 3
- Start Page
- 575
- End Page
- 59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524
- ISSN
- 1225-4290
- Abstract
- ‘성취동기’란 어려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거나,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자 하는 인간의 동기로 개인의 행동변화와 국가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최근 성취동기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성취동기를 측정하는 도구의 중요성도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성취동기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McClelland의 성취동기 하위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이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성취동기의 내용을 담고 있는 고전인 ‘갈매기의 꿈’에서 문장을 발췌하여 55개의 문항을 제작하였다. 예비연구와 본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종 4개의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4개의 요인을 각각 열정, 희망, 모험심, 자신감이라고 명명하였고 28개의 문항(열정 11문항, 희망 7문항, 모험심 6문항, 자신감 4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동기측정도구의 분석결과, 적절한 요인적합도와 문항내적일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구인의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른 4개의 성취동기측정도구와의 공인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발된 성취동기측정도구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동기측정도구(Achievement Motivation Scale)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