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패러다임의 사회적 기원과 그 진화:새로운 경영담론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Social Origin and Evolution of Management Paradigms: Interpretations of Recent Management Discourses
- Other Titles
- Social Origin and Evolution of Management Paradigms: Interpretations of Recent Management Discourses
- Authors
- 정동일
- Issue Date
- Sep-2013
- Publisher
- 한국인사조직학회
- Keywords
- utopian meta-paradigm; technocratic management paradigm; humanistic management paradigm; evolution of management discourse; 유토피아 메타패러다임;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 경영담론의 진화
- Citation
- 인사조직연구, v.21, no.3, pp 105 - 151
- Pages
- 47
- Journal Title
- 인사조직연구
- Volume
- 21
- Number
- 3
- Start Page
- 105
- End Page
- 15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531
- ISSN
- 1598-8740
- Abstract
- 근래 들어 경영학자들과 경영 구루들 사이에서 인본주의적 경영담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또 다른 학자들은 지나가는 유행에 불과하다고 폄하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두 극단적 해석을 모두 지양하는 대신, 이 현상을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꾸준한자기실현적 진화 과정의 일부로 파악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선 경영패러다임의 사회적 기원에 대한 관점을 제시한다. 인류의 역사에는 바람직한 이상사회에 대한 두 가지 사상적 구성물, 즉 유토피아적 메타패러다임이 존재하는데, 이를각각 기술주의적 메타패러다임과 낭만적 메타패러다임으로 부를 수 있다. 경영 패러다임은 이 두 가지 메타패러다임이 조직의 맥락 속에서 구체화된 사고체계이다. 이 논문에서는각각의 메타패러다임에 상응하는 경영 패러다임을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과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으로 개념화한 뒤, 이 패러다임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 전제들을비교하고 이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경영담론과 경영현실에 구현되어 왔는지를 검토한다. 과학적 관리론은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원형적 모습을 매우 높은 수준으로구현했으며, 그러한 이유 때문에 이후의 경영담론 진화의 경로를 상당 부분 결정했다.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강한 구속력 때문에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은 그 동안그 본원적 모습을 제대로 구현하기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본주의적 경영패러다임 내에서 생산된 담론들은 인간관계론 이후 꾸준히 그 본원적 모습을 향해나아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Barley & Kunda가 주장한 경영담론의 주기적 반복명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으로부터 인본주의적 경영패러다임으로의 느리지만 지속적인 진화의 관점에서 새로운 경영담론을 해석하고 그미래를 예측해 본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상대학 > 경영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