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정치적 아웃사이더들의 역습?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 활성화가 참여 불평등에 끼치는 영향을 중심으로The Impact of the Rise of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equalities in Korea

Other Titles
The Impact of the Rise of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equalities in Korea
Authors
조정인
Issue Date
Aug-2012
Publisher
한국정당학회
Keywords
참여 불평등; 비통상적 정치참여; 한국사회종합조사; 젠더; 연령; Inequality;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participation; Gender gap; Age gap; Education gap
Citation
한국정당학회보, v.11, no.2, pp 39 - 66
Pages
28
Journal Title
한국정당학회보
Volume
11
Number
2
Start Page
39
End Page
6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011
ISSN
1598-5008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 유권자들의 정치참여 불평등현상이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에서 실제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치참여의 불평등 정도가 시민 참여의 방법과 채널에 따라 상이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정치적 참여의 방법을 통상적 정치참여(투표)와 비통상적 정치참여(정치적 소비주의, 진정서 서명, 정치적 기부)로 구분하여 젠더,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기인하는 참여의 불평등 현상이 실증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2009년 한국 사회종합조사를 사용하였다. 흥미롭게도, 경험적 분석결과한국 유권자들의 참여 불평등은 정치참여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과 기성세대 시민들이 전통적 정치참여 즉 투표율에 있어서 적극적이고 높은 정치참여율을 보이는 반면, 여성들과 연령이 낮은 유권자들은 남성과 연령이 높은 층의 시민들에 비해 통상적 정치참여 과정에서 주변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치적 소비주의, 정치적 기부, 진정서 사인, 인터넷 토론 등 비통상적 정치참여영역에서는 기존의 통상적 정치참여에서 나타났던 참여 불평등 현상이 매우 감소되었다. 즉, 여성들과 젊은 유권자들의 정치참여율이 통상적 정치참여 채널과 비교해 비통상적 채널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유권자들이 그렇지 않은 시민들에 비해 비전통적 정치참여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이 발견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글로벌서비스학부 > 글로벌협력전공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o, Jung In photo

Jo, Jung In
글로벌서비스학부 (글로벌협력전공)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