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교육과정 비평을 통한 미술교육의 본질과 기능 재고The Essence and Functions of Art Education in Modern Curriculum Criticism
- Other Titles
- The Essence and Functions of Art Education in Modern Curriculum Criticism
- Authors
- 김향미
- Issue Date
- Aug-2011
- Publisher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Keywords
- Art Education; Modern Art Curriculum; Essence and Functions of Art Education; Paradigm of Art Education; 미술교육; 근대 미술 교육과정; 미술교육의 본질과 기능; 미술교육 패러다임
- Citation
- 한국초등교육, v.22, no.2, pp 243 - 254
- Pages
- 12
- Journal Title
- 한국초등교육
- Volume
- 22
- Number
- 2
- Start Page
- 243
- End Page
- 254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888
- DOI
- 10.20972/kjee.22.2.201108.243
- ISSN
- 1976-698X
- Abstract
- 모더니즘적 사고에 기반을 둔 근대 미술 교육과정은 이제 예술을 둘러싼 오늘날의 다양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변혁을 추구해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아울러, 현대의 미술은 대단히 다변적이고 통합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편협한 교과관에 미술교육을 대응시키는 일은 적절하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이라는 관점에서 근대 미술교육을 성립시킨 제 상황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탈근대시대 미술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조망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시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삶 속에서 미술교육의 본질과 특성들이,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을 포착하고 적응해 나가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 대안인지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예술과 생활, 삶의 의미와 다양성을 충실하게 반영하고자 하는 교육철학적 관점을 내포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기반으로 미술 교육과정이 구상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 예술적 역량이 특히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미술교육 내용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