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의 다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방향에 대한 연구Role of Cultural Product and Cultural Facility in Implementing Multicultural Policy Program

Other Titles
Role of Cultural Product and Cultural Facility in Implementing Multicultural Policy Program
Authors
홍기원윤소영
Issue Date
Apr-2011
Publisher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Keywords
Multicultural Policy; Multicultural Art; Cultural Facility; Digital Content; 다문화정책; 문화콘텐츠; 문화기반시설; 디지털 다문화콘텐츠; 다문화교육
Citation
다문화콘텐츠연구, no.10, pp 341 - 371
Pages
31
Journal Title
다문화콘텐츠연구
Number
10
Start Page
341
End Page
371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974
ISSN
2092-5042
Abstract
1996년 이후 각종 제도와 사회적 수요에 따라 이주민이 유입되면서한국사회의 이주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이들의 안정적이고도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위한 다양한정책 사업들이 개발되어 왔다.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형식적으로는다문화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실행되고 있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보았을 때에는 이주민의 한국사회에 대한 동질화정책의 성격이 강하다. 또한 이민정책 차원에서의 프로그램과 다문화정책 차원에서의프로그램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다문화와관련된 각종 사업의 프로그램들이 차별화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본 논문은 다문화정책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다문화콘텐츠’로 명명되어 활용되는 각종 사업의 내용이나 프로그램들이 어떻게정의될 수 있는가 그 가능성을 탐색하여 이로부터 문화예술분야에서 기능할 수 있는 ‘다문화콘텐츠’의 개념적 특성과 범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 정의를 바탕으로 다문화콘텐츠가 실제로적정하게 활용되기 위한 환경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분야에서의 다문화콘텐츠는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다문화적관점’을 견지하는 문화예술활동 혹은 예술창작물이어야 하는데 이는 다문화에 대한 개념적 분석과 콘텐츠에 대한 정의에 기초한다. 다문화콘텐츠를 소비 및 활용하는 대상은 이주민뿐만이 아니라 정주민까지 포괄하는 전 국민이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다문화콘텐츠의 확산 및 보급체계로서의 문화기반시설과 온라인 환경은중요한 분석 대상이 된다. 현재 개발・보급되고 있는 다문화콘텐츠의 확산과 보급에 있어 문화기반시설과 온라인 환경은 미래에 더욱적극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대학원 > 문화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