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작업기억, 단기기억과 지능간의 관계 모형 검증A Latent Variabl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Working Memory, Short-term memory, and Intelligence

Other Titles
A Latent Variabl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Working Memory, Short-term memory, and Intelligence
Authors
박선민하대현
Issue Date
Sep-2010
Publisher
한국교육심리학회
Keywords
working memory; short-term memory; Gf; Gc; PS; g; 작업기억; 단기기억; 유동지능; 결정지능; 지각속도; 일반요인
Citation
교육심리연구, v.24, no.3, pp 611 - 632
Pages
22
Journal Title
교육심리연구
Volume
24
Number
3
Start Page
611
End Page
632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3413
ISSN
1225-4290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인간의 기억 체제에서 작업기억과 단기기억이 기능적으로 서로 다른 구조인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둘째, 그 두 기억 구인이 유동지능, 결정지능, 지각 속도와 같은 심리측정학적 지능 요인과 각각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셋째, 두 기억과 일반요인(g)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런 목적을 위해 기억과 지능이론에 근거해 여러 대안적인 관계 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최적 모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총 348명의 고등학생,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조작 폭, 읽기 폭, 대칭 폭의 세 종류의 작업기억 과제와 숫자바로따라 외우기와 숫자거꾸로따라 외우기의 두 종류 단기기억 과제가 실시되었다. 아울러 그들에게 3종류의 지능검사로 유동지능(Raven검사), 결정지능 및 지각속도 검사가 실시되었다. 그렇게 수집된 자료로부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작업기억과 단기기억은 서로 다르게 기능하는 구조로 나타났다. 작업기억과 단기기억은 비교적 높은 상관을 나타냈지만, 작업기억은 기억 기능과 집행적주의 기능과 관련되는 반면에 단기기억은 단순히 기억 기능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상호 구분될 수 있는 구조였다. 둘째, 작업기억과 단기기억은 유동지능, 결정지능, 지각속도와 관련해 각각 상이한 관계 구조를 나타냈다. 즉 유동지능은 작업기억과 더 크게 관련되었고, 결정지능은 두 기억이 비슷한 크기로 관련되었으나, 단기기억이 조금 더 크게 관련되었다. 지각속도의 경우는 단기기억이 더 크게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은 대체로 선행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셋째, 기억과 지능간의 관계 모형에서 일반요인을 추출한 모형이 그렇지 않은 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에서 일반요인에 대해 단기기억이 작업기억보다 더 크게 관련되는 결과는 다소 의외적인 것이었다. 이런 결과에 대한 원인 규명 연구와 함께 신경생리학적인 접근(예, fMRI)을 통한 작업기억 연구가 향후 과제로 제안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working memory, short-term memory, and intelligence. Under the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as follows: 1)Are working memory(WM) and short-term memory(STM) functionally separable constructs? 2)How WM and STM are related to fluid intelligence(Gf), crystallized intelligence(Gc) and perceptual speed(PS) factor? 3)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WM, STM, and general intelligence(g)?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ree WM tasks(operation span, reading span, and symmetry span tasks), two STM tasks(forward and backward digit span tasks), and several psychometric intelligence tests were administered to 348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whose ages were over 18. Three important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WM and STM were highly related, but functionally separable constructs. The function of WM involved both memory(storage) processes and executive attention, whereas the function of STM reflected primarily memory processes. Second, WM and STM were differently related to Gf, Gc, and PC respectively. WM showed higher regression coefficient with Gf than STM. Both WM and STM showed almost similar regression coefficients with Gc. STM showed higher regression coefficient with PS than WM.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ird, in final fitting model STM showed a little higher regression coefficient with g than WM. This was an unexpected result because the main function of WM reflected executive control processes which were greatly involved with individual difference in g. In conclusion part, the possible reasons on the unexpected result were discussed and future tasks of WM research such as neuro-physiological approach were propose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