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초등학생의 학습강점에 관한 탐색 연구Exploratory Study on the Learning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d by Mothers and Teachers
- Other Titles
- Exploratory Study on the Learning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d by Mothers and Teachers
- Authors
- 이소희; 신춘희; 박영례
- Issue Date
- Sep-2010
- Publisher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Keywords
-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Streng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Strength; 초등학생; 긍정심리학; 학습상황; 학습강점
- Citation
- 한국가족복지학, v.15, no.3, pp 53 - 76
- Pages
- 24
- Journal Title
- 한국가족복지학
- Volume
- 15
- Number
- 3
- Start Page
- 53
- End Page
- 76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3418
- ISSN
- 1229-4713
- Abstract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집이나 학교에서의 학습상황에서 높은 성취를 이루도록 이끄는 좋은 특성을 학습강점으로 정의하고, 초등학생의 학습강점에 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을 비교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학습강점을 계발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수준의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 지역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409명과 초등학교 교사 257명으로 총 666명을 연구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하고 전문가에 의해 내용타당성이 확보된 개방형 질문지를 우편 및 직접 방문을 통한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유사한 강점특성과 계발방안을 유목화 한 다음, 빈도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선행연구에서 개념화하고 있는 학습강점 개념에 인식이 낮을 뿐 아니라,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사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가정과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상황과 목적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습에서의 성취과정에 관계되는 정의적 특성들은 ‘학습’될 수 있다고 볼 때, 학업성취에 대한 압박이 시작되는 초등학생을 둔 어머니와 교사는 학습강점에 대한 인식을 공유할 필요가 크다. 이를 위해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강점을 상위 개념으로 한 학습강점의 세부 영역 연구와 그 계발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높은 교육열에 따른 아동과 가족의 역기능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그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예방가족복지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