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논증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A critical study of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Other Titles
A critical study of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Authors
김병구
Issue Date
Aug-2009
Publisher
반교어문학회
Keywords
argumentative writing; writing education;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writing; rhetoric; public writing; logic of persuasion; 논증적 글쓰기; 글쓰기 교육;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적 글쓰기; 수사학; 공적 글쓰기; 설득의 논리
Citation
반교어문연구, v.27, pp 5 - 29
Pages
25
Journal Title
반교어문연구
Volume
27
Start Page
5
End Page
2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3959
ISSN
1598-2734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지배적인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논증적 글쓰기’ 교육이 다양한 실천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설득의 논리’에 기초한 ‘공적인 글쓰기’ 교육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행해졌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논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논증적 글쓰기’가 새삼스럽게 강조되게 된 이유에 대하여 논하였다. 최근 대학에서 ‘논증적 글쓰기’ 교육이 강조되게 된 맥락은 ‘비판적 사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게 된 맥락과 일정정도 궤를 같이 한다. 이런 맥락의 검토를 통하여 ‘왜 지금 논증적 글쓰기이어야 하는지’ 나아가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논증적 글쓰기’가 갖는 교육적 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비판적 사고’에 기초한 ‘논증적 글쓰기’를 강조하는 담론이 지닌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비판적 사고’에 기초한 ‘논증적 글쓰기’의 규범으로 제시된 ‘문제해결적 글쓰기’가 어떤 이유에서 글쓰기에 대하여 인식적 편향성을 드러내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편향된 인식이 낳는 효과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대학에서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의 다양한 실천 가능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논하였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논증적 글쓰기’는 ‘비판적 사고’를 위한 논술 교육으로 표상될 수는 없다는 전제 하에 ‘논증적 글쓰기’가 ‘설득의 논리’에 기초한 ‘공적 글쓰기’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수사학적 실천의 관점에서 ‘논증적 글쓰기’가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Byeong Goo photo

Kim, Byeong Goo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