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음악 수업 사례 연구A Case Study on Music Instruc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 Other Titles
- A Case Study on Music Instruc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 Authors
- 신혜경
- Issue Date
- Jun-2020
- Publisher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 Keywords
- 초등음악교육; 음악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 예술강사 역량; 협업; Elementary music education; Music instruction;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Art instructor’s qualifications; Collaboration
- Citation
- 한국예술연구, no.28, pp 183 - 207
- Pages
- 25
- Journal Title
- 한국예술연구
- Number
- 28
- Start Page
- 183
- End Page
- 207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76
- DOI
- 10.20976/kjas.2020..28.009
- ISSN
- 2093-6494
- Abstract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예술강사 참여형 음악 수업의 우수 사례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강사와 교사들의 지속적인 협업으로 진행된 음악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음악 수업의 특징은 학습자의 음악적 감수성 개발, 예술강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결과로서의 몰입, 감각적인 단계부터 음악 구성 능력 개발로 발전하는 수업 논리, 다양한 규모의 공연을 통한 성취도 확인 및 음악 예술의 본질 체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강사와 교사 간 협업은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하는 가운데 예술강사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수업 이상의 학교 단위 교사 연수까지 확장된 협력 관계로 밝혀졌다. 셋째, 학교의 재정적 지원뿐 아니라 연속성 있는 전 학년 수업 편성이 음악 수업의 예술적․교육적 수준 향상,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태도, 확장된 프로그램 개발을위한 필수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 현장에서 요구하는 예술강사 역량은 학교 실정과 초등학생 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 학습자에 대한 관심, 연주 능력뿐 아니라 수업 진행을 위한 기초 음악 능력,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 개발 능력 등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 case of a successful music instruc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An art instructor and two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qualitative study. The analysis of multiple resources of data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music instructions were: fostering learners’ musical sensitivity as astarting point of each class, deep immersion based on affective and mus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instructor and learners, firm instructional strategies, achievement due to various performances, experiencing the essence of art, and intrinsic satisfaction of the instructor through classes. Second, the art instructor led collaborations with teachers in acknowledging each other's expertise, which was extended to teacher workshops. Third, both financial support and a consistent curriculum throughout the school year was an essential element for ensuring instructional quality, improving students’ attitudes and developing advanced programs. Fourth, art instructors' qualifications for elementary music education were: a deep understanding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concerns for learners, musical abilities for performance and teaching, and capabilities for developing music program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