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계급과 공공성 공공성 주체로서 노동계급의 가능성과 한계Class and Publicness Possibility and Limit of Working Class as a Public Actor

Other Titles
Class and Publicness Possibility and Limit of Working Class as a Public Actor
Authors
이승훈
Issue Date
Dec-2010
Publisher
비판사회학회
Citation
경제와 사회, no.88, pp 12 - 34
Pages
23
Journal Title
경제와 사회
Number
88
Start Page
12
End Page
3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7839
ISSN
12271373
Abstract
이 글은 계급과 공공성(publicness)의 관계를 다룬다. 공공성 이슈가 현대사회의 핵심의제가 된 상황에서, 공공성 실현의 주체로서 노동계급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성 개념을 절차, 주체, 내용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규정했다. 각각의 차원은 서로 보완 관계에 있으면서, 동시에 모순과 갈등 관계에 있기도 하다. 이러한 개념에 비추어 마르크스의 계급론을 해석할 때, 그의 계급 논의는 공공성의 절차적 차원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분석 및 비판을 제시하고 있지만, 공공성의 주체나 내용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피상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공공성 주체로서 노동계급이 갖추어야 할 조건들에 대한 논의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공공성 주체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공론 영역에의 참여, 공공성 내용에 대한 규정, 그리고 비판적 거리 두기 등 세 가지 요인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and publicness. As questions around publicness have become one of the crucial issues of modern society,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working class as a publicness-realizing agent. As a preliminary step, it is argued that there are three dimensions of publicness (process, acting subject, and contents) and that these dimensions are complementary and, sometimes, contradictory to one another. In the light of the dimensional fissures of publicness, Marxian concept of class entails both possibilities and limits. Indeed, Marxian discourse of working class provides a good ground for analyzing and criticizing the procedural dimension of publicness with some depth. Meanwhile, the discussion remains simple and even superficial when it comes to the questions of acting subject and contents of publicness. For a further elaboration of working class as a publicness-realizing actor, more in-depth discussions on additional considerations are needed. In this article, three additional factors (participation in public sphere, defining the contents of publicness, and putting some critical distance) are suggeste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ung Hun photo

Lee, Seung Hun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