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삼국유사 소재 <處容歌>의 高麗的 어휘 요소와 그 示唆에 關하여The Formative Period of Chǒyongga

Other Titles
The Formative Period of Chǒyongga
Authors
박재민
Issue Date
Mar-2010
Publisher
한국어문교육연구회
Cit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v.38, no.1, pp.179 - 205
Journal Title
어문연구(語文硏究)
Volume
38
Number
1
Start Page
179
End Page
205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7949
DOI
10.15822/skllr.2010.38.1.179
ISSN
12291617
Abstract
본 논문은 『三國遺事』에 수록된 「處容歌」의 몇 어휘들을 살펴, 이 作品이 ‘高麗時代에 變改된 것’일 가능성을 推論해 본 결과물이다. 그간 「처용가」는 新羅時代를 배경으로 한 설화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 내용적으로 8분절됨으로 향가 8句體說의 유력한 근거가 된다는 점 등으로 인하여 ‘國語學的ㆍ國文學的’ 조명을 집중적으로 받아왔다. 그러나 이 작품에 포함되어 있는 ‘東京ㆍ如可(-다가)ㆍ良乙(-아)ㆍ良羅(-러라)ㆍ馬於隱(-마)’은 當代 地名ㆍ口訣ㆍ吏讀’의 표기상황으로 볼 때 13C 이후에야 나타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점은 삼국유사의 편찬시기가 13C末 이후란 점과 잘 조응하게 되는 바, 이런 시대적 정황이 「처용가」의 노랫말에 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ae Min photo

Park, Jae Min
문과대학 (한국어문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