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8세기 조선후기 감로탱화에 나타난 무용장면의 형태와 유형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수정-
dc.date.available2021-02-22T15:16:45Z-
dc.date.issued2007-03-
dc.identifier.issn2671-6755-
dc.identifier.issn2671-6356-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948-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삼국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주변국과의 교류를 통해 끊임없이 외래문화를 수용하면서 연희문화를 발전시켜왔다. 특별히 조선시대는 민족 고유양식정립에 독자적인 강한 의지를 보여왔는데 감로탱화는 조선시대 불교회화로 불교신앙을 보여주는 귀한 자료로 민중의 생활풍습과 정신세계를 담아내고 있어 조선시대 문화와 예술을 연구하는 데에 매우 귀중한 연구자료라고 할 수 있다.본 연구는 무용학적인 측면에서 감로탱화를 재조명하였으며 18세기 조선후기 감로탱화 작품에 나타난 도상과 무용의 유형과 특징을 연구하되 묘사된 인물의 구성과 동작의 특징을 통해 조선시대 후기의 한국무용 형태와 배경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18세기 조선시대의 감로탱화 작품 16점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첫째, 의식무용장면은 중단에서 나타났으며 활달한 바라무를 중심으로 군중을 몰입시키는 타악기가 중심을 이루었는데 이는 불교의식의 대중화를 반영하고 있었다.둘째, 무인들의 하체동작은 움직임의 크기에 있어 남·녀의 차이를 보였다. 상체의 경우 손목을 꺾는 동작이 많이 보여졌고 무당의 경우 신칼을 휘돌리는 듯한 몸통을 크게 사용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셋째, 조선후기로 갈수록 연희자들은 더욱 전문화되고 집단화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다양한 복식과 관모를 통해서 알 수 있으며 이는 자신이 속한 집단과 신분을 표시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넷째, 솟대놀이는 현재는 남사당놀이 속에서 전해지고 있는데 이시기의 가장 인기있는 종목으로 솟대놀이꾼을 중심으로 줄타기, 살판꾼, 무인, 구경꾼이 집중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다섯째, 조선후기로 갈수록 연희자의 기예수준이 높아졌으며 관중의 숫자도 증가했다. 또한 공연자와 관람자의 공간구분이 뚜렷해져 연희의 형태가 점점 공연의 형식으로 갖추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로 갈수록 연희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수준이 높아졌으며 보다 활발한 연희활동이 집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전해지는 한국무용 가운데 18세기 조선시대에 성행되었던 무용과 민속의 형태를 연구하는 데에 새로운 학문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dc.format.extent19-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체육철학회-
dc.title18세기 조선후기 감로탱화에 나타난 무용장면의 형태와 유형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ance Styles and Types from the late Chosun Period's Kam-Ro-Tang-Hwa in the Eighteen Centurie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15, no.1, pp 201 - 219-
dc.citation.title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dc.citation.volume15-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201-
dc.citation.endPage219-
dc.identifier.kciidART00104405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Chosun Dynasty-
dc.subject.keywordAuthorKam-Ro-Tang-Hwa-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Dance-
dc.subject.keywordAuthorBuddhist Painting-
dc.subject.keywordAuthorChosun Dynasty-
dc.subject.keywordAuthorKam-Ro-Tang-Hwa-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Dance-
dc.subject.keywordAuthorBuddhist Painting-
dc.identifier.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16433-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이과대학 > 무용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 Su Jung photo

Cha, Su Jung
이과대학 (무용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