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술복제시대의 동물, 인간, 자연: 아우라와 생기적 유물론으로 읽은 필립 K. 딕의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을 꿈꾸는가?』Animals, Humans, and Nature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Reading Philip K. Dick’s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using the Concepts of Aura and Vital Materialism

Other Titles
Animals, Humans, and Nature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Reading Philip K. Dick’s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using the Concepts of Aura and Vital Materialism
Authors
박창숙
Issue Date
Sep-2023
Publisher
문학과환경학회
Keywords
aura; vital materialism;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artificial nature; posthuman; 아우라; 생기적 유물론;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을 꿈꾸는가?; 인공 자연; 포스트휴먼
Citation
문학과환경, v.22, no.3, pp 5 - 38
Pages
34
Journal Title
문학과환경
Volume
22
Number
3
Start Page
5
End Page
3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1582
DOI
10.36063/asle.2023.22.3.001
ISSN
1599-7650
2714-0563
Abstract
본 연구는 발터 벤야민의 미학 개념인 아우라와 생기적 유물론의 접점을 바탕으로 과학소설의 고전인 필립 K. 딕의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을 꿈꾸는가? 를 새롭게 읽어내려는 시도이다. 본래 전통적인 예술작품을 논의하는 데 사용되었던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은 원본성, 진품성, 일회성이라는 객관적인 속성과 대상과의 교감이라는 주관적인 속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요소를 생기적 유물론에서 강조하는 물질의 생기와 접목하여, 아우라의 경험을 예술작품만이 아니라 사물에 내재한 생기를 포착하고 감지하는 감각 행위로 간주하고, 이를 통해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을 꿈꾸는가? 에 등장하는 전기 동물, 안드로이드, 인공 자연에 이르기까지 비인간적인 요소들을 수용하는 인간의 감각적 태도를 고찰한다. 소설 속에서 복제품들이 보여주는 생기와 그들과 접촉할수록 변화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아우라의 경험을 재해석하며, 기술로 점철된 포스트휴먼 시대에 산재하는 인공적인 것들과 인간 사이의 새로운 관계 맺음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