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거주 이주민의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Living Satisfaction of Migrants in Seoul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Living Satisfaction of Migrants in Seoul
- Authors
- 황향화; 김옥녀
- Issue Date
- Mar-2023
- Publisher
-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 Keywords
- Migrants; Social Capital; Living Satisfaction; Interculturalism; 이주민; 사회적 자본; 생활만족도; 상호문화주의
- Citation
-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13, pp 215 - 243
- Pages
- 29
- Journal Title
-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 Volume
- 13
- Start Page
- 215
- End Page
- 24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1981
- DOI
- 10.22957/mses.13..202303.215
- ISSN
- 2586-6206
- Abstract
- 본 연구는 서울시의 2019년 도시정책지표조사(서울서베이) 자료를 활용 서울시 거주 이주민의 사회적 자본유형을 분석하고,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거주 이주민의 사회적 자본 형성은 교량형 자본의 경우 연령, 국적, 체류자격, 한국어능력, 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결속형 자본은 국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서울 거주 이주민의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국적과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민자는 사회적 자본 중 교량형 자본, 개인변인 중 학력이 높을수록,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취업장의 경우, 사회적 자본 중 교량형 자본과 개인 변인 중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이주민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이론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