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Other Title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Authors
- 박성희; 손승희
- Issue Date
- Mar-2023
- Publisher
- 한국청소년학회
- Keywords
-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실제-이상 자기일치; 자기자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Actual-Ideal Self-Discrepancy; Self-Consistency; Self-Compassion;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 Citation
- 청소년학연구, v.30, no.3, pp 133 - 156
- Pages
- 24
- Journal Title
- 청소년학연구
- Volume
- 30
- Number
- 3
- Start Page
- 133
- End Page
- 156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007
- DOI
- 10.21509/KJYS.2023.03.30.3.133
- ISSN
- 1229-6988
2733-9289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 총 3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SPSS 25.0, SPSS Macro 3.5를 통해 분석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낮음을 자기일치라 표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제-이상 자기일치, 자기자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실제-이상 자기일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실제-이상 자기일치와 자기자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제-이상 자기일치가 자기자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를 경험하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심리 내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함께 개입해야 함을 시사하며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