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완전 자율주행차의 실내공간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및 운전 외 행위에 대한 인식Perception of Non-Driving Related Tasks and Sociocultural Factors for Fully Autonomous Vehicle Interior

Other Titles
Perception of Non-Driving Related Tasks and Sociocultural Factors for Fully Autonomous Vehicle Interior
Authors
이주회박태욱
Issue Date
Feb-2023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완전 자율주행차; 실내공간 디자인; 운전 외 행위; 사용자 인식; fully autonomous vehicle (FAV); interior design; non-driving related tasks (NDRTs); user perception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24, no.1, pp 259 - 276
Pages
18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24
Number
1
Start Page
259
End Page
27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049
DOI
10.47294/KSBDA.24.1.19
ISSN
1598-8635
2713-599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완전 자율주행차의 실내공간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과 자동차 실내공간에 대한 사용자 인식의 변화 흐름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접근 방식으로 향후 완전 자율주행차의 실내공간 디자인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완전 자율주행차의 실내공간 디자인 및 사용자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사용자들의 추상적 사고를 기반으로 조사되었다는 점에서 예측하지 못한 여러 사항들을 놓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 자동차의 실내공간에서 평소 하는 운전 외 행위에 대한 구체적 사고와 완전 자율주행차의 실내공간에 대한 추상적 사고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통합적 사고와 단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 연구들과차별성을 갖는다. 국내에 개인 차량을 보유한 일반인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코로나19 이후 완전 자율주행차의 실내공간에 대한 사용자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18년도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완전 자율주행차가 개인과 사회를 분리하는 동시에 연결해 주는 중간 매개 공간으로서의 디자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코로나19 이후 자동차를 이동 수단 보다 집과 같은 생활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완전 자율주행차의 타겟 그룹의 특성을 분석할 때 성별, 나이, 거주 지역과 같은 인구통계학적특성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와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교차분석 결과 유의미한차이를 나타내는 주요 사용자 특성들이 인구통계학적 요소보다 개인의 타고난 성향을 보여주는 요인들이 각 그룹의 특성을 보여주는 유의미한 속성으로 밝혀졌다. 사용자 유형별 특성 및 요구사항들이세심하게 반영되었을 때 완전 자율주행차에 대한 초기 사용자들의 심리적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