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와 문학Disgust and Literature
- Other Titles
- Disgust and Literature
- Authors
- 강미영
- Issue Date
- Nov-2022
- Publisher
- 한국사회이론학회
- Keywords
- disgust; literature; counter-discourse; digital literature; storytelling; 혐오; 문학; 대항담론; 디지털 문학; 스토리텔링
- Citation
- 사회이론, no.62, pp 81 - 105
- Pages
- 25
- Journal Title
- 사회이론
- Number
- 62
- Start Page
- 81
- End Page
- 10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318
- DOI
- 10.37245/kjst.2022.11.62.81
- ISSN
- 1598-2300
- Abstract
- 본 논문은 인류 역사를 통해 함께 상호작용하고 공진화해온 혐오와 문학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혐오가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맞물리며 구조적으로 인간의 의식을 형성하고 조종해 온 혐의가 있다면, 그 공모자로서의 문학도 그러한 혐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문학의 주체와 양식이 다변화되는 과정에서 우리는 문학이 대항담론이나 공감의 형태를 통해 혐오의 해독제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 또한 부인할 수 없다. 혐오가 타인을 배제하고 차별하려는 욕망이기에, 타인의 입장이 됨으로써 타인을 포용하려는 감정인 공감은 혐오에 대응되는 감정이자 대안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한 사회 안에서 공감이 중요시되는 본질적 이유는 공동체적 삶과 개인적 가치를 조화시키려고 하는 시도 속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시도의 하나로 쓰였으며, 혐오와 관련한 문학의 역할을 반추하는 것을 넘어 앞으로의 전망을 아우르고자 하였다. 나아가, 디지털 시대의 문학이 혐오에 대해 가지는 양가적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그 대안적 사유를 모색하고자 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부설연구기관 > 인문학연구소 > 1. Journal Articles
![qrcode](https://api.qrserver.com/v1/create-qr-code/?size=55x55&data=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318)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