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여성 복식에 표현된 욕망의 의미The Meaning of Desire in Women's Costu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Other Titles
- The Meaning of Desire in Women's Costu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Authors
- 김소희
- Issue Date
- Nov-2022
- Publisher
- 한국문화융합학회
- Keywords
- The late Joseon dynasty; women’s costume; Desire; Eroticism; Meanings of desire; 조선 후기; 여성 복식; 욕망; 에로티시즘; 욕망의 의미
- Citation
- 문화와융합, v.44, no.11, pp 767 - 780
- Pages
- 14
- Journal Title
- 문화와융합
- Volume
- 44
- Number
- 11
- Start Page
- 767
- End Page
- 78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323
- DOI
- 10.33645/cnc.2022.11.44.11.767
- ISSN
- 2950-9742
2950-9750
- Abstract
- 본 연구는 조선 시대 욕망의 억압 안에서 발현되는 조선 후기 여성의 에로티시즘과 여성 복식에 표현된 욕망의 의미를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유교를 사상의 중심으로 하는 조선은 엄격한 신분 구분이 존재했으며 순종과 희생, 절제 등 유교의 덕목을 따라 여성의 삶이 가장 억압받던 시대였다. 조선 시대 여성들은 후기로 갈수록 몸에 밀착되는 저고리와 풍성한 치마의 상박하후 스타일로 노출과 은폐를 통해 관능미를 드러냈으며 특히 기생은 에로티시즘과 자기과시를 보여주는 새로운 스타일로 당대 유행을 선도해 나갔다. 조선 후기 여성들은 욕망의 억압 속에 라캉의 욕망이론처럼 복식 이미지를 통해 여성 자신이 주체가 되는 동시에 타자의 욕망을 표출하였다. 그들의 복식 표현에 감춰진 욕망의 의미는 여성으로서의 성적 욕망의 추구와 남성을 향한 도전, 권력을 향한 욕망, 새로움의 추구와 소비를 통한 자기 과시적 욕망의 표현이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https://api.qrserver.com/v1/create-qr-code/?size=55x55&data=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323)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