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상담자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자기위로와 자기수용의 이중매개효과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nd Self-acceptance of the Influence of Dysfuctional Perfectionism on Child Counselors’ Burnout
- Other Titles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nd Self-acceptance of the Influence of Dysfuctional Perfectionism on Child Counselors’ Burnout
- Authors
- 이승희; 김광웅
- Issue Date
- Oct-2022
- Publisher
- 인문사회 21
- Keywords
- Key Words: Child Counselor; Dysfunctional Perfectionism; Burnout; Self-soothing; Self-acceptance; 핵심어: 아동상담자; 역기능적 완벽주의; 소진; 자기위로; 자기수용
- Citation
- 인문사회 21, v.13, no.5, pp 2487 - 2502
- Pages
- 16
- Journal Title
- 인문사회 21
- Volume
- 13
- Number
- 5
- Start Page
- 2487
- End Page
- 2502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407
- DOI
- 10.22143/HSS21.13.5.174
- ISSN
- 2951-049X
- Abstract
- 아동상담자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자기위로와 자기수용의 이중매개효과이 승 희**ㆍ김 광 웅***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상담자의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위로와 자기수용의 이중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서 아동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아동 상담자 총 2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 아동상담자의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자기위로의 하위변인 중 ‘스스로 회복하기’와 자기수용과정을 통해 소진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여 이들 변인이 이중매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노출’과 ‘신체적 위로하기’는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상담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로 활용될 것이다.
핵심어: 아동상담자, 역기능적 완벽주의, 소진, 자기위로, 자기수용
□ 접수일: 2022년 9월 8일, 수정일: 2022년 10월 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본 연구는 주저자의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보듬과아우름 상담센터 부원장(First Author, Vice President, Bodeum and Auleum Counseling Center, Email: seunghee6017@hanmail.net)*** 교신저자,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Emeritus, Sookmyung Women’s Univ., Email: kwkim125@gmail.com)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