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독백에서 대화로—참여 객관화의 지성사 쓰기 : 정 수복,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4부작(2022)For Historical Dialogue : Reading Soo-Bok Cheong's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Sociology Tetralogy

Other Titles
For Historical Dialogue : Reading Soo-Bok Cheong's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Sociology Tetralogy
Authors
이황직
Issue Date
Jun-2022
Publisher
한국인문사회과학회
Keywords
정 수복; 지성사;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4부작; 참여 객관화; 학술장; Soo-Bok Cheong; Intellectual History;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Sociology tetralogy; Participant Objectification; Academic Field
Citation
현상과 인식, v.46, no.2, pp 131 - 162
Pages
32
Journal Title
현상과 인식
Volume
46
Number
2
Start Page
131
End Page
162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656
DOI
10.46349/kjhss.2022.06.46.2.131
ISSN
1229-3555
Abstract
이 서평 논문은 정 수복의 「지성사」 4부작에 충실히 응답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 수복은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지성사 형식으로 서술했는데, 이는 지성사의 방법이 사상 형성에 미치는 구조적 제약보다 그에 대응하는 예외적 개인으로서 지식인의 역할을 더 강조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청소년기부터의 사회 참여에 관한 관심은 스승 박영신과 투렌을 만나 사회운동론으로 심화 발전해 나갔는데, 이를 바탕으로 정수복은 「지성사」에서 한국 사회학사를 지식인으로서 한국의 사회학자들이 한국 사회의 문제와 전망에 대해 이론적으로 개입 또는 실천한 역사의 틀에서 서술했다. 둘째, 한국 사회학에 대한 역사적(통시적) 응답으로서 「지성사」는 기존 한국 사회학사 서술의 단편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공공성을 띤 사회학사 서술을 시도했다. 역사로서 지성사 역시 객관성의 확보 문제에 부딪히는데, 정수복은 저술 형식과 방법상의 특성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2차 프랑스 체류기부터 2차 귀국 이후 이십 년간 정 수복은 한국 사회학계의 연구 성과를 빠짐없이 읽어가는 방식으로 참여 관찰을 시도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부르디외에게서 착안한 사회학적 자기분석을 통해 참여 객관화를 시도했다. 그런 까닭에 「지성사」는 한국 사회학계 전반에 참여 객관화를 시도한 저작으로서, 한국 사회학자가 자신이 속한 사회 발전을 위해 얼마만큼 이론적 실천적으로 개입했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학자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반성을 촉구한 저술로 평가할 수 있었다.
It is the implicit duty of all book reviewers to ensure that the message thrown by the author is not trapped in the library. The summary of the book review on Soo-Bok Cheong's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Sociology tetralogy, which started from this premise, is as follows. First, Cheong described the history of Korean sociology in the way of intellectual history, which could be explained through interest in intellectuals and social participation from youth throughout his life. In this regard, the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Sociology tetralogy is a work that critically analyzes how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Korean sociologists have intervened in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ety, and urges them to reflect on the role and duty of sociologists as intellectuals. Second, As a historical response to Korean sociology, this tetralogy attempted a systematic and publicized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sociolo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ragility of existing Korean sociology descriptions. As a history, Intellectual History also faces the problem of securing objectivity, and Cheong solved this problem through the form and method characteristics of writing. For 20 years after his second stay in France and his second return, Cheong not only attempted to observe participation by reading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social studies, but also tried to objectify participation through sociological self-analysis based on Bourdieu’s. Therefore, this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Sociology tetralogy attempted to objectify participation in the entire Korean sociological community, and it was evaluated as a work that urged reflection on the role and duties of Korean sociologists as intellectuals by critically analyzing how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tervened in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ety.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i, Hwang Jik photo

Yi, Hwang Jik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