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폭력 영화의 맥락에 따른 등장인물 및 영화 평가 차이: 주인공과 배경음악의 효과를 중심으로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ntextual Factors in Evaluating Characters and Film in Violent Media: The Role of Narrative Point of View and Background Music

Other Titl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ntextual Factors in Evaluating Characters and Film in Violent Media: The Role of Narrative Point of View and Background Music
Authors
김예지최지연
Issue Date
May-2022
Publisher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Keywords
폭력물; 영화; 맥락 요인; 주인공 동일시; 배경음악; 정서 불일치 음악; violent media; film; contextual factors; identification with film protagonist; background music; mood-incongruent music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v.36, no.2, pp 113 - 131
Pages
19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Volume
36
Number
2
Start Page
113
End Page
131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767
DOI
10.21193/kjspp.2022.36.2.002
ISSN
1229-0653
Abstract
미디어 폭력물의 부정적인 파급효과에 대해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다. 선행 연구에서는 폭력의 빈도, 수위와 같은 양적 요인보다 가해자 유형 및 폭력 동기와 같은 맥락 요인이 시청자에게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폭력물의 맥락 요인을 주인공과 배경음악으로 한정하고, 이를 달리하였을 때 등장인물과 영화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주인공은 시나리오를 통해 피해자 주인공과 가해자 주인공으로 조작하고, 배경음악은 폭력 영상과 정서적으로 일치하는 조건 및 불일치하는 조건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시나리오를 읽고, 영상과 정서적으로 일치 또는 불일치하는 음악이 삽입된 폭력 영상을 시청한 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 영화의 주인공이 피해자인 조건에서 가해자인 조건에 비해 가해자를 더 비난하였고, 가해자가 주인공인 조건에서 피해자가 주인공인 조건에 비해 피해자를 더욱 비난하였다. 둘째, 폭력 영상과 배경음악이 유발하는 정서가 일치하지 않을 때보다 일치할 때에 영화 폭력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피해자 주인공 조건에서 영상과 배경음악의 정서가 일치할 때 영화를 더 폭력적으로 지각하였고, 가해자 주인공 조건에서 영상과 배경음악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영화를 더 흥미롭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폭력 영화의 맥락에 따라 영화의 폭력성에 대한 시청자의 지각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사회심리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Ji Youn photo

Choi, Ji Youn
사회과학대학 (사회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