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디스토피아 연구 – 우주 시대부터 인공지능 시대까지A Study on the Dystopia in Korean Juvenile Science Fiction - From Space Age to Artificial Intelligence Ag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ystopia in Korean Juvenile Science Fiction - From Space Age to Artificial Intelligence Age
Authors
최배은
Issue Date
Feb-2022
Publisher
한국문학연구학회
Keywords
아동·청소년 과학소설; 디스토피아; 핵전쟁; 자동화; 생명정치; 저항; Juvenile Science Fiction; Dystopia; Nuclear War; Automation; Biopolitics; Resistance
Citation
현대문학의 연구, no.76, pp 143 - 175
Pages
33
Journal Title
현대문학의 연구
Number
76
Start Page
143
End Page
175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918
DOI
10.35419/kmlit.2022..76.004
ISSN
1229-9030
Abstract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초기부터 최근까지 디스토피아 소설이 창작되어왔음을 입증하고 과학기술 및 아동·청소년을 억압하는 사회 현실에 대한 아동·청소년 문학의 대응을 검토하기 위해 195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창작된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을 대상으로 디스토피아의 특징과 의미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냉전 체제 하의 미·소 우주경쟁 시대(1950년대-1970년대)에는 과학기술에 대한 동경과 환상이 컸으나, 핵폭발에 대한 공포로 핵전쟁을 ‘경고’하는 의미의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고도 성장기인 반도체 시대(1980년대-1990년대)에는 과학기술에 대한 기대와 확신이 커졌으나, 환경오염의 심각성과 자동화의 획일성을 경계하는 작품이 창작되었다. 하지만 탐욕을 버리면 과학기술로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이 우세했다. 과학기술의 선진화를 이룬 인공지능 시대(2000대-2010년대)에는 고용불안정, 이상기후, 저출산 고령화 등의 위기를 맞아 과학기술이 생명정치의 도구로 전락하고, 그러한 체제에 저항하는 청소년들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작품이 창작되었다. 이 시기는 과학기술이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이 약해졌다. 요컨대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디스토피아는 당대 사회 모순을 폭로하고, 기술 유토피아를 경계하며 과학주의와 개발주의의 폐해를 비판하는 기능을 해왔다.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역사에서 중요한 한 축인 디스토피아 소설을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그 사회 비판 기능을 고찰하여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역할과 가능성을 확장시킨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dystopia in Korean juvenile science fiction diachronically, which was created from the 1950s to the 2010s. In the era of spac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under the Cold War system, a longing and a fantasy for science and technology were great, but most of works were created to "warn" the danger of the nuclear war due to the fear of nuclear explosion. In the semiconductor era, which was a period of rapid growth, though expectations and confide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grew bigger, they were written to be wary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uniformity of automation. On the other hand, the optimistic view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solve the problems as long as they abandoned greed was dominant.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even i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has had a great achievement, the risk of biopolitics resulting in employment instability and abnormal climate, etc, was exposed, and adolescents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 forces against it. As a result, during this period, the belief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solve social problems grew weak. In short, the dystopia in Korean juvenile science fiction has served to expose social contradictions of the time, be wary of technological utopia, and criticize the harmful effects of scientificism and developmentism.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