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학을 통해 살펴본 문화적 원체험지로서의 종로와 문화콘텐츠 활용 연구A Consideration on a Plan for Using the Cultural Contents in Jongno as a Original Experiential Space of Modern Poetry

Other Titles
A Consideration on a Plan for Using the Cultural Contents in Jongno as a Original Experiential Space of Modern Poetry
Authors
김지윤
Issue Date
Feb-2021
Publisher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Keywords
Jongno; cultural contents; cultural identity; Seoul’s change; literary commu- nity; placeability.; 종로; 문화콘텐츠; 문화정체성; 서울의 변화; 문화적 원체험지; 문인공동체; 장소성
Citation
서울학연구, no.82, pp 1 - 53
Pages
53
Journal Title
서울학연구
Number
82
Start Page
1
End Page
5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3167
DOI
10.17647/jss.2021.02.82.1
ISSN
1225-746x
Abstract
본 연구는 문학을 통해 도시의 문화적 자원을 발굴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 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목적 아래 ‘종로’라는 공간에 주목해보 았다. 문화정체성이 발현되는 인문학적 공간으로 지역을 이해하는 관점에서, 문 화적 원체험지로서의 종로를 재발견하려 한 것이다. 역사 기술이나 공식적 기록 이상의 지역의 구체성, 지역민의 내면을 재현하고자 한다면 문학이 중요한 매개 체가 될 수 있다. 이 글은 시인들의 생애사와 작품, 증언록 등에 나타난 의미 있 는 공간과 장소를 그 자체로 텍스트로 보아 그 배경이자 맥락으로서의 문화적 과 정에 관심을 기울이고 살펴보았다. 또한 1960~1970년대 소위 ‘종로시대’의 형성 과 소멸의 배경 및 그 과정을 살펴보며 당대의 문인 공동체의 중심이었으며 문학 적 교류공간이자 집필 장소였던 종로를 재조명해보았다. 1960년대 이후 본격화 된 도시 정비사업의 진행 과정 속 문인들의 거점 공간이 명동에서 종로로 이동하 게 되고, 다시 종로의 쇠락과 함께 사라져가는 모습은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의 변 화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전통적 의미에서의 장소성이 희미해지며 균질적인 메트로폴리스로 성장해가는 과정에서 의미를 형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소실해가고 있음을 ‘종로 문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소멸을 통해 상기하게 되는 점 이 있다. 나아가 종국적으로는 현대시 속에 재현된 서울의 형상을 단순히 확인하 고 분석하는 작업에 머물지 않고, 콘텐츠화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이르고 자 했다. 이를 위해 본론 1,2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실증적 자료의 발굴과 보 존, 문화자원으로의 활용을 위한 콘텐츠화를 3장에서 제안하며 유효한 사례를 제 시했다.
This study focused on ‘Jongno’ to discover the cultural resources of the city through literature and to form the identity of the region. This article considered ‘Jongno’ area as a humanistic space where cultural identity appeared, and rediscovered Jongno as a cultural origin of poets who actually lived in Jongno. Then, looking at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disappearance of the so-called ‘Jongno Era’ in the 1960s and 1970s, this article re-examined Jongno, which was the center of the literary community of the time. In the course of the urban readjustment project since the 1960s, literary strongholds moved from Myeong-dong to Jongno, and disappeared with the decline of Jongno, sym-bolizing the change of urban space in Seoul. Furthermore, this study went further from simpl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shape of Seoul reproduced in modern poetry to find ways to make and utilize it as cultural content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