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을 통해 본 가상 체육공간에 대한 철학적 논고A Philosophical Study on Virtual Sports Space Seen through Lefebvre’s Spatial Theory

Other Titles
A Philosophical Study on Virtual Sports Space Seen through Lefebvre’s Spatial Theory
Authors
김소미김정은
Issue Date
Nov-2023
Publisher
한국체육학회
Keywords
Virtual physical education space; Physical activity; Theory of space production; Spatial practice; Reprsentations of space; Space of representational; 가상 체육공간; 신체활동; 공간생산론;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
Citation
한국체육학회지, v.62, no.6, pp 263 - 274
Pages
12
Journal Title
한국체육학회지
Volume
62
Number
6
Start Page
263
End Page
27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9578
DOI
10.23949/kjpe.2023.11.62.6.20
ISSN
1738-964X
2508-7029
Abstract
본 연구는 확장된 스포츠 활동으로 가상체육활동의 실용적 요구와 더불어 교육환경의 생태적 변화를 조명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론은 문헌연구로서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을 해석적 지표로 삼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르페브르의 공간 삼원론을 분석틀로 적용하였으며,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이라는 각각의 층위를 통해 가상 체육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교육 비전, 그에 따른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첫째, 가상공간의 기술력은 기계와 융합된 신체로의전환에 큰 장점을 두고 있다. 물론 신체들 간의 직접적인 물질적 관계맺음은 불가능하지만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신체활동이 전개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적 의미를 부여해 볼 수 있었다. 둘째, 가상공간 역시 장소화 된 하나의 체육활동공간이라는 점이다. 공간 생산이라는 의미론적인 측면에서 가상 체육활동 공간은 현실에서의 운동장, 체육관만큼이나 사적, 기술력, 신체리듬과 같은 신체적 전유가 발생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체험은 결국 공간 애착, 익숙함과 같은 장소애를형성하게 된다. 셋째, 가상 체육공간이 가진 기술적 특성을 ‘공간적 실천’과 ‘공간 재현’, ‘재현 공간’이라는 세 가지 맥락에서 보았을 때 자연화된 공간만큼이나 체험된 공간으로서 교육적 효용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가상 스포츠 활동의 교육적 비전에 대한 해석 차원의 연구로서 실재적, 가상적 경험 속에서 근본적인 체육활동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여지 제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