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PKD 낭종액에서의 사이토카인 Profile에 대한 연구Cytokine Profile in the Aspirated Cystic Fluids in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Patients
- Other Titles
- Cytokine Profile in the Aspirated Cystic Fluids in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Patients
- Authors
- 이중건; 안규리; 윤성철; 박종훈; 문창숙; 노진주; 송은경; 김연수;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김승협
- Issue Date
- Sep-2002
- Publisher
- 대한신장학회
- Keywords
-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cytokine; ELISA; cystic fluid;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cytokine; ELISA; cystic fluid
- Citation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21, no.5, pp 713 - 718
- Pages
- 6
- Journal Title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Volume
- 21
- Number
- 5
- Start Page
- 713
- End Page
- 718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6505
- ISSN
- 2211-9132
2211-9140
- Abstract
- 배 경 :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 (ADPKD)의 발병기전은 아직 잘 밝혀져 있지 않으나 낭종상피세포의 과증식이나 내강 안으로의 낭종액 분비가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사이토카인은 일반적으로 세포의 성장이나 분화, 세포고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본 질환의 발병에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낭종액에서의 사이토카인을 측정한 보고는 적으며 일부 물질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ADPKD 환자의 낭종액을 대상으로 각종 사이토카인들을 측정하여 이 결과와 질병경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증상이 있는 ADPKD 환자 23명에서 치료목적으로 천자된 낭종액을 대상으로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IL-1β, IL-2, IL-4, IL-6, IL-10, IFN-γ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낭종감염이 있는 천자액은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남녀비는 6 : 17이었고, 시술 당시의 연령의 중앙값은 52세 (범위 36-78세)였다. IL-1β는 23 검체 중 18개에서 검출되었으며 (78%, 11-173 pg/mL), IL-2는 18/23개(78%, 5-159 pg/mL), IL-4는 9/23개 (39%, 8-156 pg/mL), IL-6는 10/23개 (43%, 16- 1,498 pg/mL)에서 검출되었다. IL-10과 IFN-γ는 전례에서 검출이 되지 않았다. IL-1β 값은 IL-2 값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0.7671), IL-6 값은 고질소혈증이 있었던 7명에서 288.4±526.2 pg/mL로서, 신기능이 정상인 군에 비해 (98.3±413.9 pg/mL) 유의하게 높았다(p<0.01). IL-1β, IL-2, IL-4 값도 고질소혈증이 있는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각 사이토카인 치는 낭종액의 osmolality, 나트륨 농도와 상관이 없었으며, 천자된 낭종의 크기와도 연관이 없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이과대학 > 생명시스템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