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본 한글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한민족 정체성에 대한 인식 연구Correlational study between Korean identity and various variables at Korean Saturday schools in Japan

Other Titles
Correlational study between Korean identity and various variables at Korean Saturday schools in Japan
Authors
김경령
Issue Date
May-2019
Publisher
우리말교육현장학회
Cit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13, no.1, pp 195 - 230
Pages
36
Journal Title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ume
13
Number
1
Start Page
195
End Page
230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847
ISSN
1976-3204
2713-7392
Abstract
본고는 일본의 한글학교에 다니는 계승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문화 정체성 형성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사회언어학적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된 연구이다. 일본의 한글학교에서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해외에서의 온라인 설문 경험이 풍부한 전문 리서치 용역 업체를 통해 데이터를 수합하여 교차 분석을 통해 여러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과 학부모는 공통적으로 한국어를 통해 계승언어 구사자로서 정체성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는 정체성 형성을 위해 한국어가 절대적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학부모는 언어적 요소만이 절대적이라 생각하지 않았고 한국 문화나 역사 등에 대해 알게 하는 것도 언어 교육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정체성 교육의 의미에 따라 수업의 내용이나 방향, 한국 문화에 대한 소개, 교수법 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성별이나 학력변인 등에 따라서도 교육해야 하는 문화 내용 선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들은 본인의 한국어 실력에 관계없이 한국어 문화에 자녀들을 노출시키기 위해 한글학교에 보내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그러한 환경을 가정에서 조성하기에 다른 가족들의 반대도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학교에 보내는 이유로 한국어뿐 아니라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에 대한 기대도 컸으며, 한국어 능숙도가 절대적으로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만은 아닌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 시기부터 한국어와 문화를 통해 정체성 형성을 돕고자 하는 학부모와 교사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그간 언어 교육에만 매몰되었던 시각을 좀 더 넓게 확장하여 문화 교육, 정체성 교육이 언어 수업 내용에 적절히 어우러진 교육과정이나 자료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both Korean Saturda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language and cultural attitudes, identity issues, and expectation variabl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survey in Korean Saturday schools in Japan. Both Korean Saturda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Korean Saturda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n-lin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findings. First, Korean teachers and parents show similar attitudes towa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elping children develop a Korean identity from an early age. However, parents demand a curricula that is more related to culture than merely language. Second, depending on the different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Korean identity, their teaching methods with regards to handling Korean culture changed. Some variables, such as a teacher’s gender or educational level, influence cultural class content. Third, parents expect more abundant Korean cultural input from Korean teachers besides learning Korean language in Korean Saturday schools. This study offers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Saturday school curriculum for preschool learners at Korean Saturday schools in Japa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yung Ryung photo

Kim, Kyung Ryung
문과대학 (한국어문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