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 현장교육의 쟁점과 과제: 현장교육 유형화를 중심으로Trends and Issues of Field Learning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Field Learning

Other Titles
Trends and Issues of Field Learning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Field Learning
Authors
박철우이영민정동열
Issue Date
Jan-2019
Publisher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Keywords
현장교육; 현장실습; 학교기업; 학생연구원; 일·학습병행; Field Learning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School-Based Enterprise; Undergraduate Student researcher; Work-Learning Dual System
Citation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9, no.1, pp 135 - 143
Pages
9
Journal Title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olume
9
Number
1
Start Page
135
End Page
14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915
DOI
10.35873/ajmahs.2019.9.1.015
ISSN
2383-5281
2383-7268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산업추세를 반영하기 위하여 도입된 대학교육과정에서의 현장교육을 유형화하고 현황을 파악하며, 제도적인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현장교육은 전통적인 대학교육, 즉, 강의실에서 이뤄지는 교수-학습자간 전달방식 교육과 차별화하여 최근 산업추세, 기업의 전문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 및 도제교육을 의미한다. 기존에도 현장교육과 유사한 형태의 개념이나 용어들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산업현장의 요구 반영에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현장교육의 유형화는 공간적 측면과 학생의 입학경로를 고려하여 구분하고 있다. 공간적 측면에서 학교 밖 기업에서의 교육, 기업환경을 대학 내 설치하여 대체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등으로 구분하여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학생의 입학경로 측면에서는 대학입시의 유형을 바탕으로 일반 정규과정(수능입학생), 학습근로자, 재직자 등으로 분류하여 교육과정이 현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일반 정규과정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한다. 이를 기반으로 도출된 현장교육 사례의 현황과 문제점, 제도적 여건 등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현장교육 본연의 의미에 부합하는 제도를 제안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field learning and made categorizations of field learning. The concept of field learning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is, classroom-based learning. Many keywords and concepts that have to do with field learning have been used in variety ways. But, these terms have lack of reflecting the needs of industries. In This method is developed based on the needs of industry and the trends of industry and corporations. This method includes the experiential learning and apprenticeship education. The categorization falls into two by two scheme: The place where the field learning takes place and entrance paths of students. By place, field learning can be categorized as education out of school, school-based education by setting up the industry and corporation environment. By entrance paths, general university entrance exam paths, learning employee paths, employee paths and etc. But, mainly, we investigated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problems of this paths. Finally, some policies are suggested for future direction.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Young Min photo

Lee, Young Min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