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 양상 연구 -판소리 <배비장전>과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의 비교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Modern Acceptance of <Baebijangjeon> Narratives -Focusing on Comparison of the Pansori <Baebijangjeon> and the Musical <Saljjagi Opseoy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ern Acceptance of <Baebijangjeon> Narratives -Focusing on Comparison of the Pansori <Baebijangjeon> and the Musical <Saljjagi Opseoye>
Authors
이유경
Issue Date
Oct-2017
Publisher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Keywords
배비장전; 살짜기 옵서예; 판소리; 뮤지컬; 대중음악극; 희극; 희극성; 멜로드라마; 풍자; 웃음; 사랑; 장르 혼성; 감성 변화; 공감; Baebijangjeon; Saljjagi Opseoye; pansori; musical; popular musical drama; comedy; the comic; melodrama; satire; laughter; love; genre hybridity; emotional change; empathy
Citation
고전문학과 교육, v.36, pp 169 - 203
Pages
35
Journal Title
고전문학과 교육
Volume
36
Start Page
169
End Page
20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2242
DOI
10.17319/cle.2017..36.169
ISSN
1598-7108
2713-7066
Abstract
<배비장전>은 실창 판소리로, 남아있는 두 이본은 20세기 초중반에 문자로 정착된 것이며 관련 기록도 적다. <배비장전>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텍스트의 불확실성이 항상 문제가 되었으나, <배비장전>이 실창 판소리이면서도 근대 이후에 다양한 장르와 매체로 활발하게 수용되고 있는 점을 볼 때, 남아있는 이본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이후의 변화 양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배비장전>을 현대적으로 수용한 작품 중 <살짜기 옵서예>는 국내 최초의 창작뮤지컬로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전통 음악극인 판소리를 계승한 20세기의 대중 음악극으로서 인물의 성격, 작품의 구조, 주제의 측면에서 큰 변화를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판소리 <배비장전>과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의 비교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배비장전> 서사는 소화에서 시작하여 판소리로 정착된 후 근대에 이르러 실창 판소리로는 가장 먼저 창극으로 공연되고, 이후 뮤지컬로 수용된다. 판소리, 창극, 뮤지컬은 모두 대중 음악극 형식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는데 서사적 측면에서는 점차 변이를 보인다. <배비장전> 서사는 소화, 판소리, 창극에 이르기까지는 희극이지만, 현대에 이르러 그 내용에 변화가 나타나고 그런 양상은 <살짜기 옵서예>에서 두드러진다. 먼저 판소리 <배비장전>의 희극성을 살펴보면, <배비장전>은 배비장의 경직성과 비사회성이 웃음을 유발하며, ‘내기와 공모’를 통한 속이기의 구조를 통해 배비장에 대한 거리두기를 가능하게 하여 그에 대한 연민이나 동정 없이 마음껏 웃게 한다는 점에서 희극성을 지닌다. <배비장전>은 이러한 내용을 통해 풍자와 해학을 통한 웃음으로 배비장과 관객 모두를 개선시키고 교정하는 해피엔딩의 주제를 드러낸다. 이에 비해 <살짜기 옵서예>에서는 배비장과 애랑이 순정적인 인물들로 변모하며, 사랑을 이루기까지의 내적 갈등과 감정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들의 성격 변화는 작품의 서사 구조에도 영향을 미쳐서, 내기와 공모의 구조가 시련 극복을 통한 사랑 성취의 구조로 변하면서 희극적 서사에서 멜로드라마적 서사로 변화한다. 위선적인 인물이 주변인들의 공모로 훼절하여 크게 망신당하는 이야기에서, 낮은 지위의 순수한 남성 주인공이 상층 인물의 주도로 발생하는 시련을 극복하고 사랑을 이루는 이야기로 변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풍자와 해학의 주제는 사랑과 감동의 주제로 변모한다. 이러한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의 의미는 사회 변화에 따른 장르 혼성과 수용층의 감성 변화로 볼 수 있다. 조선후기에 형성된 <배비장전> 서사는 20세기 중반 이후 전 사회가 근대화를 거치는 배경 속에서 당대의 가장 인기 있는 대중서사양식인 멜로드라마와 결합하여 익숙한 이야기에 새로움을 더함으로써 상업적이고 대중적인 작품으로 재탄생한다. 또한 신분제가 사라지면서 웃음의 주체가 신분 계층에 따른 집단에서 일반 대중 개개인으로 이동하여 공격적 웃음이 아닌 공감의 웃음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비장과 애랑의 사랑을 자연스럽게 만들고 이에 감동하게 한다.
<Baebijangjeon> is a lost song pansori, and its two remaining versions were recorded in written forms in the early and middle part of the 20th century. Moreover, not many written records of it exist. The uncertainty of its text has always presented a problem in the study of <Baebijangjeon>. However, given that, while <Baebijangjeon> is the lost song pansori, it is actively accepted in various genres and the media,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Baebijangjeon> has changed, focusing on the two remaining versions. Among the various modern styles of the works <Baebijangjeon> that were accepted, <Saljjagi Opseoye>[sweet, come to me stealthily] was successful as the first creative korean musical. As a popular modern musical drama succeeding the traditional musical drama style, it is worth studying since <Saljjagi Opseoye> significantly altere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structure, and theme in <Baebijangje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how <Baebijangjeon> narratives are accepted in modern times by comparing the pansori <Baebijangjeon> and the musical <Saljjagi Opseoye>. <Baebijangjeon> narratives began as sohwa[funny story], settled down as pansori, and, in modern times, as the lost song pansori, were performed as changgeuk, eventually transforming into musical. Pansori, changgeuk, and musical possess a common feature in that they are all musical drama. However, in terms of narrative, it has gradually changed. <Baebijangjeon> narratives were comedic from sohwa, and pansori, to changgeuk. But, the contents has changed in modern times, and is conspicuous in <Saljjagi Opseoye>. This study considers the comic aspects of <Baebijangjeon>. The rigidity and un-sociability of Baebijang[military attaché Mr. Bae] produces laughter, and, the structure of deceiving him by "bet and conspiracy" is comedic, separating the audience from Baebijang, and enabling them to laugh at him without feeling pity. <Baebijangjeon> reveals the happy ending by improving and correcting both Baebijang and the audience through satire and humor. In contrast, in <Saljjagi Opseoye>, Baebijang and Aerang are characters with pure hearts, and the work reveals their internal conflicts and emotional transformation until they come to love each other. Their change of personality influences the work's narrative structure as well, as the bet and conspiracy transforms into success in love by overcoming an ordeal. Thus, the story changes from a comic narrative to a melodramatic narrative. The story is modified from one wherein a hypocritical person is humiliated by relinquishing his integrity through the conspiracy of people around him to one where a sincere lower class protagonist wins love by overcoming difficulties caused by upper class characters. The theme of satire and humor is altered to a theme of love and empathy. The implications of the modern acceptance of <Baebijangjeon> narratives can be understood as a hybridity of genres and emotional differences in the audience following societal changes. <Baebijangjeon> narratives construc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renewed as popular commercial works by combining melodrama, popular contemporary narrative styles, and adding novelty to familiar stories. Moreover,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class system, laughter was transferred from groups of different classes to common individuals, changing aggressive laughter to emphatic laughter, thus ensuring that Baebijang and Aerang's love became natural and touching.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