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쇼팽의 발라드에 나타나는 혁신적 구조The Innovative Structures of Chopin’s Ballades

Other Titles
The Innovative Structures of Chopin’s Ballades
Authors
김태정
Issue Date
Jun-2017
Publisher
한국음악학학회
Keywords
Ballad; Ballade; Chopin; Innovative structure; Arch structure; Teleological genesis; Mickiewicz; 발라드; 쇼팽; 독창적 구조; 아치 구조; 목적론적 생성; 미키에비츠
Citation
音.樂.學, v.25, no.1, pp 103 - 152
Pages
50
Journal Title
音.樂.學
Volume
25
Number
1
Start Page
103
End Page
152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2354
DOI
10.34303/mscol.2017.25.1.004
ISSN
1229-5566
Abstract
발라드는 중세 시대부터 문학적인 요소와 음악적인 요소가 접목된 광범위한 대중 장르로서 유럽 전역에 걸쳐 전승되어 왔다. 낭만시대에 들어서면서 발라 드는 서사적, 네러티브적인 스타일과 민족적인 주제를 포함하게 되었고, 악기 의 발달을 통해 쇼팽의 손에서 화려한 연주회용 피아노 독주곡 장르로 재탄생 되었다. 표제를 붙이기를 싫어하는 쇼팽의 성향은, 폴란드의 민족정신을 음악 과 연관시킬 수 있는 아담 미키에비츠(Adam Mickiewicz, 1798-1855)의 시 발라드에서 착안한 제목을 장르 제목으로 선택함으로 해결점을 찾았다. 또한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기악 장르를 창조함으로써, 고전시대의 견고한 전통 인 소나타 형식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고, 자신의 음악적 창작력을 새 장르 안에서 극대화한 것으로 간주된다. 네 곡의 발라드는 형식적, 조성적 측면에서 매우 독창적이다. 각 곡은 6박자 로 작곡되었다는 것 외에는, 형식적, 조성적인 연관성이 없다. <발라드 1번 Op. 23 g단조>에서는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을 쇼팽 자신만의 형식적 감각으로 변형하려는 시도가 드러난다. 쇼팽이 소나타 형식을 변형하 는 방식은 초기부터 그의 피아노 소나타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재현부에서 2주제를 먼저 재현시키고, 2주제의 조성이 원조로 돌아가지 않는 대칭 구조를 구상하였다. 이러한 방식이 <발라드 1번>의 큰 구조 속에 나타나 있으며, 네아 폴리탄 조성의 서주가 있는 점, 네아폴리탄 조성에서 2주제 조성을 연결시키 고 있는 점, 발전부 중앙에, g단조 악곡에서 A장조가 절정부를 이루는 점은 고전 형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요소들이다. 발전부 중앙의 A장조 부분 이 전체 악곡의 조성적 중심축을 이루면서 독창적인 구조가 탄생하였다. <발라드 2번> Op. 38 F장조/a단조에서는 A-B-A-B형식으로, 극심한 대 조를 이루는 두 부분이 교대되는 구조로 작곡되었다. 이는 당시 쇼팽과 교류가 잦았던 슈만의 작품과 관련 있어 보이는데, 슈만의 이중자아를 대입한 대조적 형식, 문학과 음악을 접목하는 방식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발라드 2번>은 슈만의 서평에서 기록된 것과 같이 아담 미키에비츠의 시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해지는데, 그의 발라드 중, 호수와 관계된 <스비테치안카> 와 연관되었다고 여겨진다. 네 개의 발라드 중, 유일한 문학적인 연관성을 가진 발라드로서, 주제와 조성의 짜임새가 시의 내용과 연관되어 있다. <발라드 3번> Op. 47 A♭장조는 쇼팽이 소나타 형식에서 벗어나 완전한 아치 구조(Arch form)를 완성한 작품으로, 이명 동음 전조를 포함하고 있음 에도, 가장 단순하고 명확한 A-B-C-B-A의 5부 형식과 조성구조를 보여준다. <발라드 4번> Op. 52 f단조는 소나타 형식을 근간으로 하지만, 짧은 발전 부를 제외한다면 거대한 2부 형식으로 보인다. 또한 1주제부의 F-A♭-C음 을 주음으로 하는 축과 2주제부의 G♭-B♭-D♭음을 주음으로 하는 축이 겹치지 않는다. 이러한 조성 구조는, 1주제부와 2주제부가 소나타 형식 안에 서 관계조로 구성되어 하나의 유기체를 이루는 고전 시대의 개념에는 상반된 이원론적 구조를 보여 준다. 주제의 발전 방식은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1865-1957)의 “목적론적 생성” (Teleological genesis)과 유사한 방식을 보 여줌으로써, 앞으로 진화해 갈 새로운 음악의 구성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쇼팽 발라드가 가지는 혁신적인 구조를 형식면과 조성면에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발라드가 고전 시대의 형식에서 진화하여 새로운 기악 곡 형식으로 확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조명하였다.
The ballad, combining literary and musical elements, was a popular, wide-ranging genre since medieval times. From the Romantic era, the ballade began to include epic narrative styles, as well as elements related to the Volksgeist; concurrent with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s, the ballade was reborn as a brilliant genre for piano concert pieces in Chopin’s hands. Chopin disliked giving his compositions programmatic titles; he settled on the name of his new genre through the ballads of Adam Mickiewicz (1798-1855), known for connecting the Polish Volksgeist with music. Also, by creating a previously non-existent genre, Chopin was able to liberate himself from the traditional features of the Classical sonata allegro form, and he is considered to have fully maximized his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side this new genre. The four ballades are extremely original in their formal and tonal aspects. There are no formal or tonal links between any of the ballades except for being composed in 6 beats in a measure. <Ballade No. 1> Op. 23 in g minor is indicative of Chopin’s efforts to modify the sonata allegro form according to his own structural senses. Chopin’s method of modifying the sonata form can be seen in his piano sonatas, where the second theme is appears first in the recapitulation, and the key of the second theme does not return to the tonic key, forming a symmetry. These features are present in the broader structure of the Ballade No. 1 as well; the presence of an introduction in the Neapolitan key, A♭ major, the connection of the Neapolitan key to the key of the 2nd theme, E♭major and the mid-development climax in A major within a piece in a g minor tonic. These are all new elements not present in the Classical sonata form. The A major section in the middle of the development section forms the tonal center of the entire piece, creating a unique structure. <Ballade No. 2> Op. 38 in F major/a minor was dedicated to Robert Schumann (1810-1856). It was composed in an A-B-A-B form, with extreme contrast between the two alternating parts. The influence of Schumann’s music on this work is apparent especially in shifting the two extreme mood as Schumann expressed his musical and emotional thoughts by using his two extremely opposite, divided egos, Florestan and Eusebius. Also, according to Schumann’s review of this work, Chopin’s second ballade was inspired by the poems of Adam Mickiewicz, and in particular, supposed to related to the ballad, “Świtezianka” about the undine of the lake, Świtez. Of the four ballades, it is the only one with a literary influence; the theme and tonal structures are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poem. Chopin’s use of an alternating, contrasting parts and the use of a literary connection in his second ballade are thought to be influenced by Schumann’s works. Chopin escaped the sonata form with <Ballade No. 3> Op. 47 in A♭ major and created a perfect arch form; despite including enharmonic transposition, the work has the simplest and clearest structure in A-B-C-B-A form and tonal structure of the four ballades. <Ballade No. 4> Op. 52 in f minor appears to be based on the sonata form, but except its short development section, it is in a large scale binary form. Also, the harmonic axis of the first theme sections, which consist of F-A♭-C as the tonic notes triad, does not overlap with the axis of the second theme sections, with tonic notes G♭-B♭-D♭triad. This kind of structure with two tonal axes is innovative and it is in contrast to the typical sonata form, where the two themes are formed in related keys and creates a unified, organic work. Chopin’s process for developing themes is similar to that of Sibelius’s compositional technique of “teleological genesis,” foreshadowing the structural concepts used la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analyses the innovative structures of Chopin’s ballades from the formal and tonal aspects, and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the ballade to be cemented as a new instrumental form evolved from its Classical root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음악대학 > 피아노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