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한 일본의 치료놀이 방안 탐색 연구An Action Research To Figure Out A Japanese Theraplay With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Method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To Figure Out A Japanese Theraplay With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Method
Authors
서근원다카이 미와
Issue Date
Apr-2020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수업; 치료놀이; 아이의 눈으로 치료놀이 이해하기;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classroom instruction; theraplay; viewing theraplay from child's perspective.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0, no.8, pp 1111 - 1141
Pages
31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0
Number
8
Start Page
1111
End Page
1141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2608
DOI
10.22251/jlcci.2020.8.1111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본 연구는 수업을 연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알려진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일본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한 치료놀이를 이해함으로써 일본에서 치료놀이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예비적인 차원에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자는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를 치료놀이의 장면에 적용하려면 어떤 절차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지 모색하고, 그 방법에 의해서 2016년 10월 4일부터 12월 27일 사이에 일본의 동경에 거주하는 3세 여아 “모모”라는 아이를 대상으로 8회기 동안 이루어진 치료놀이 장면 가운데 일부를 분석하고 해석했다. 치료놀이 과정에서 모모는 치료사의 질문에 어긋나는 대답을 하거나 몸은 피하면서 얼굴은 웃는 등의 행동을 했다. 이것은 아이가 치료사의 지시나 지도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일본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는 자신의 본심은 드러내지 않고 상대의 의중에 조화를 이루고자 애쓰고, 그것이 실패했을 때 자신의 감정을 추스르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모모에게는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좀 더 제공할 필요가 있다.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를 치료놀이의 장면에 적용하여 치료놀이를 연구한 결과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치료놀이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치료놀이가 아이를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유연하고 유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그밖에도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놀이치료나 예술치료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Japanese Theraplay with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which is a instruction research method. And this study intended to figure out a proper way of Theraplay adequate to Japan culture by preliminary dimension. For this purpose we adapted the research method of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to a Theraplay case. To use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we studied the purpose and procedure of it. And we re-designed the procedure of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to understand a Theraplay case of “Momo” who is 3 years old lived in Tokyo. In the process of Theraplay, Momo’s answers were in discord with therapist’s questions. And she avoided therapist action with smile. These actions of her might be interpreted as a disobedience against therapist. But in the context of Japanese culture, her actions mean to harmonize with therapist covering her heart. And when she failed her strategy she tried to recover her hurt heart by duplicated action. Considering this interpret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her a chance to do what she wants more. According to the case of understanding of the Theraplay case of “Momo” with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it can improv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aplay. It attributes to the characters of Theraplay which is flexible and quicksilver. And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can be adapted to research play-therapy or art-therapy too.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