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東아시아 國土計劃法制의 最近動向 및 主要爭點 -특히 國土計劃法制의 懸案과 課題를 中心으로-Recent Trends and Major Issues of East Asian Land Planning Legislation -Focusing on the Issues and Tasks of the Land Planning Legislation-

Other Titles
Recent Trends and Major Issues of East Asian Land Planning Legislation -Focusing on the Issues and Tasks of the Land Planning Legislation-
Authors
정남철
Issue Date
Feb-2017
Publisher
한국법학원
Keywords
National Land Planning Law; Legal Principle of Plan Maintenance(Grundsatz der Planerhaltung); Local planning sovereignty(Planungshoheit); Ensuring State; Environmental Planning; Climate Change; Legal Principle of Balancing(Abwägungsgebot); 국토계획법; 계획유지의 법원칙; 계획고권; 보장국가; 환경계획; 기후변화; 형량명령
Citation
저스티스, v.158, no.3, pp 45 - 73
Pages
29
Journal Title
저스티스
Volume
158
Number
3
Start Page
45
End Page
7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111
ISSN
1598-8015
2671-5309
Abstract
국토계획법제의 위상과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국토계획법의 발전과 미래를 위해 매우 필요한 일이다. 동아시아의 국토계획법제는 선진국에 비해 그 역사가 짧고 법리의 발전도 정체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국가의 계획법제의 발전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 국토계획법제가 지향해야 할 방향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동아시아의 국토계획법제를 비교・연구하여 우리 국토계획법제의 위상과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은 국토계획법제의 진로와 향후과제를 위해 중요하다. 동아시아 국가 사이에는 국토계획법제의 체계나 형식에 있어서 어느 정도 조화와 통일을 이루고 있다. 특히 일본은 이미 오래 전부터 歐洲의 이론을 수용하여 계획법제의 특수한 법리를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계획재량의 특성, 행정계획에 대한 절차적 통제 등에 있어서도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衡量命令의 법리나 실체적 위법성 기준 등은 아직 미흡하다. 우리나라는 보다 진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형량명령이나 계획변경청구권의 경우에 無理한 법리를 적용한 경우도 있다. 계획법에 관한 논의는 해당 지역의 문제에 그쳐서는 아니 되고, 동아시아 지역공동체의 靑寫眞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아시아 국가의 계획법제의 발전과 동향은 도시계획의 미래를 구상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럽(연합) 차원의 空間計劃이 참고가 될 만하다. 한・중・일 동아시아국가 사이에도 기후변화방지를 포함한, 미래의 국토계획과 도시개발을 위한 국제적 공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또한 南北分斷의 특수한 상황에 직면한 우리나라는 통일 후의 국토계획법제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공간계획법의 영역에서 통합된 법률안을 제정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한국의 국토계획법제를 우선적으로 정비하여 경과규정을 두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토계획은 기후변화나 ICT기술의 발전 등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도전에 수반한 현안과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계획법제의 형성과 발전이 요구된다.
It is very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future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legislation to understand its status and situation. The planning legislation system of the East Asian countries has a shorter history tha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is stagnated.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planning law system in East Asia and looks for direc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national land planning legislation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situation of the Korean land system legislation by comparing and studying the land planning system in East Asia. There are some harmony and unification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regarding the system and form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legislation. In particular, Japan has long accepted the theories of European countries and acknowledged the special legal principles of the planning law. For example, the nature of planning discretion and procedural control over administrative planning. However,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principle of balancing (Abwägungsgebot) and substantial illegality standards of land planning. Korea has taken a more advanced position, but in some cases it has applied sometimes excessive jurisprudence in the case of the principle of balancing or a right to change the land planning. Discussions about planning legisl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local problems, but should be developed into blueprints for the East Asian communities. The development and trends of planning law in East Asian countries can be a great help in conceiving the future of urban planning. As such, the European (Union) level spatial plan is worthy of reference. Korea-China-Japan East Asia countries should actively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futur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rban development, including prevention of climate change. Faced with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north and south division, Korea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land planning legislation after unification. It is not easy to enact the legislation integrated in the area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law, and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 way of arranging the progress rule of the Korean land planning system. Besides, the national planning law faces new challeng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Future-oriented planning legislation that can respond effectively to the pending issues and challenges accompanied by these new challenges is require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법과대학 > 법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Nam Chul photo

Chung, Nam Chul
법과대학 (법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