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성인 미술치료에서 심상체험의 의미The Meaning of Image Experience in Adult Art Therapy

Other Titles
The Meaning of Image Experience in Adult Art Therapy
Authors
김효정김봉환
Issue Date
Oct-2016
Publisher
한국미술치료학회
Keywords
성인 미술치료; 자기이해; 심상체험; Adult art therapy; Self aware; Image experience
Citation
미술치료연구, v.23, no.5, pp 1517 - 1540
Pages
24
Journal Title
미술치료연구
Volume
23
Number
5
Start Page
1517
End Page
1540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240
DOI
10.35594/kata.2016.23.5.013
ISSN
1226-6787
2734-076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로써 자기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성인들의 심상체험 과정을 현상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는 질적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전체 심상체험의 과정은 심상의 형상화와 형상화된 심상을 바라봄의 이야기로 나뉘었다. 연구 결과 심상체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비유’로서 나처럼, 내 마음처럼 그림에 나타난 심상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며 자기 마음과 느낌을 투영해가며 자기를 알아갔다. 둘째, ‘마음을 꺼냄’으로 눈으로 볼 수 없는 추상적인 마음의 감정과 느낌들을 색과 형태로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들로 가시화가 되었다. 이로 인해 치료사와 소통이 더욱 원활하게 되었으며, 막연했던 내 마음이 구체화가 되고, 명료화가 되었다. 셋째, ‘낯섬’으로 그들의 그림은 그리려던 자신들의 의도와 달리그려졌다.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의 낯설음을 통해 의도와 그 결과 사이의 내용을 봄으로써 또한 자기를 알게되었다. 넷째, ‘동행’으로서 심상은 연구참여자들 각자의 일상의 경험과 나란히 갔다. 일상의 경험들이 심상 츌현의 진원지였고, 일상의 경험적 순간에 미술치료실에서의 그림이 떠올라 그 그림의 이야기가 바로 지금 여기서의 나의 이야기임을 알아차리게 해주었다. 이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심상체험의 구체적 과정들을 보여주고, 이로 인해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Bong Whan photo

Kim, Bong Whan
문과대학 (교육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