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내재적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부모-자녀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Multi-group analysis 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level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Multi-group analysis 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level
Authors
김하나이수진
Issue Date
Dec-2019
Publisher
한국진로교육학회
Keywords
대학생; 내재적 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부모-자녀 의사소통; 다집단 분석; university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multiple group analysis.
Citation
進路敎育硏究, v.32, no.4, pp 165 - 186
Pages
22
Journal Title
進路敎育硏究
Volume
32
Number
4
Start Page
165
End Page
18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912
DOI
10.32341/JCER.2019.12.32.4.165
ISSN
1598-9291
2734-0597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고 행동하는 것에 있어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덜어 주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된 개인적, 심리적 변인들을 설정하고 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환경적 변인과의 구조적 관계도 살펴보기 위해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변인을 설정하였다. 특히,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평균을 중심으로 고집단, 저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 고집단, 저집단 간의 차이는 어떤지 AMOS 21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내재적 동기와 진로준비행동 사이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부분적으로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정한 매개 모형에서 다집단 분석을 통해서는 부모-자녀 의사소통 고집단과 저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형의 경로계수를 분석해보면 내재적 동기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저집단이 고집단보다 더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를 더 강하게 설명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에 있어서 대학생들은 점차 부모의 영향력을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대학생이 진로를 준비하고 결정하고 행동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더 이상 부모의 영향이 아니라 개인의 내재적 동기와 같은 심리내적인 변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stress from making a career decision and preparing, acting for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etting a research model and testing that. And then, this study analyzed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As a resul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d mediating role in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communication group and lower communication group. But, according to the test of path analysis, intrinsic motivation acro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th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th, that lower communication group ha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an upper communication group. It means university students are breaking free of influence their parents because they are almost adults. Also, it is no longer the influence of parents that is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prepare for, decide, and act on their career but their psychological values like intrinsic motivation.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