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Changes of Salons

Other Titles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Changes of Salons
Authors
강현정장미정이진민
Issue Date
Dec-2018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살롱; salon; Salon; 문화공간; Cultural space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9, no.6, pp 23 - 37
Pages
15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9
Number
6
Start Page
23
End Page
37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090
ISSN
1598-8635
Abstract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적 구성이 역사적인 관점에서어떻게 변화되고, 해석되었는지에 관한 1차적 탐색연구이다. 살롱은 산업혁명 이후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경험수준과 지적 정보 공유의 공간에 대한 사용이 높아지면서 현재까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구글 트렌드에서 2004년부터 현재까지의 살롱검색에 대한 조사결과 ‘salon’ 용어의 관심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알 수 있다. 이러한 영항으로 나타난 현시대 살롱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피로증과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공유와소통 증가로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이용 가치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살롱 공간에 대한 이해와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범위는 살롱이 처음 나타난 르네상스 시기부터 현 시대까지의 살롱공간과 문화적 기능을 문화 해석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살롱 공간의 해석을 위해 문화적 기능에대한 이해와 살롱 공간의 발전 범주를 분류한다. 둘째, 살롱의 과거 문화적 공간들의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표현되는 문화적 기능과 그에 따른 유형을 분석하여 셋째, 살롱 문화적 기능에 따른 공간구성의 시대적 변화를 파악한다. 연구 결과로 살롱 초기 문화적 기능에 따른 시대적 변천은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소비문화공간의 살롱, 예술문화공간의 살롱으로 전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명확한 사적 공간에서18세기 이후 목적을 가진 외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현재는 공공영역의 복합 문화 콘텐츠에 따라 변화되는 유의어 개념을 가진 공간의 형태로 변화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공간 변화, 살롱문화공간의 유형과 콘텐츠에 대한 3단계의 연구 중 2단계 연구로 앞으로 연구하게 될 살롱문화공간의 콘텐츠의 분석을 위한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미술대학 > 환경디자인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hie, Jin Min photo

Rhie, Jin Min
미술대학 (환경디자인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