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아동기외상이 고통감내력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The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Distress Tolerance in University Students: A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Distress Tolerance in University Students: A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 Authors
- 손승희
- Issue Date
- Feb-2018
- Publisher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 Keywords
- Childhood Trauma; Distress Tolerance; Internalized Shame; Mediating Effect; University Student; 아동기 외상; 고통감내력; 내면화된 수치심; 매개효과; 대학생
- Citation
- 인문사회 21, v.9, no.1, pp 107 - 120
- Pages
- 14
- Journal Title
- 인문사회 21
- Volume
- 9
- Number
- 1
- Start Page
- 107
- End Page
- 12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675
- DOI
- 10.22143/HSS21.9.1.9
- ISSN
- 2093-8721
- Abstract
- 고통감내력은 다양한 심리장애에 영향을 미치며 정신건강, 심리적 적응과 관련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고통감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외상과 고통감내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동기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및 고통감내력 척도를 사용하여 대학생 41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3.0과 AMOS 21.0으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기외상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고통감내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아동기외상이 고통감내력과 부적 상관이 있고, 아동기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기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고통감내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리고 고통감내력 증진을 위한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실천적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