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처용설화를 바탕으로 한 화예디자인 작품 과정 연구 -작가적 관점 ‘처용의 마음을 그리다 情정’을 중심으로-A Study on Floral Design Process Based of Cheoyong Folktale -With a Focus on Authorial Aspect of ‘Portraying Cheoyong’s Mind : Affection-

Other Titles
A Study on Floral Design Process Based of Cheoyong Folktale -With a Focus on Authorial Aspect of ‘Portraying Cheoyong’s Mind : Affection-
Authors
오연주장영순
Issue Date
Dec-2014
Publisher
한국화예디자인학회
Keywords
처용설화; 인간의 감정; 화예디자인; Cheoyong Folktale; Human beings' feelings; Floral Art & Design
Citation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no.31, pp 3 - 21
Pages
19
Journal Title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Number
31
Start Page
3
End Page
21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1964
ISSN
1598-1223
Abstract
동⋅서양 문화의 융합 확산, 믹스 & 매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전통에 대한 인식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21C 예술의 한 부분으로 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보존하면서 현대적인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고자 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화예디자인에서도 창작 영역의 확장으로서 타 장르는 물론 현대와 전통적 사유의결합, 충돌, 해체 등 작가적 내면을 투영하여 그 개성과 본연의 느낌을중시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 문화유산인 처용설화를 바탕으로 하여 화예작품을 구현함에 앞서 처용설화와 처용무의 배경, 그리고 그에 나타난 공간의 대형과 무복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그에 나타난 이야기를통해 인간의 칠정에 투영된 작가의 관점 에서 처용설화의 7가지 감정‘자애롭다 愛애, 기쁘다 喜희, 놀라다 驚경, 염려스럽다 懼구, 미워하다惡오, 슬프다 悲비, 바라다 欲욕’으로 추출 하여 화예디자인 작품을 구현하였다. 작품의 전개 과정은 처용설화의 이야기, 처용설화의 감정과 처용무의 무복의 색채, 공간의 대형에서 추출한 이미지, 이의 토대가 된 아이디어스케치, 매체 선정으로 이뤄졌고, 여기에 추출한 이미지는 그의 감정에 따라 느껴지는 작가의 주관적인 특성이 가미되어 표현되었다. 전체적인 작품의 색채는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으며 공간의 구성은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처용설화를 바탕으로 한 화예디자인 연출은 전통과 현대를소통하게 해주는 새로운 조형실험으로 앞으로도 다양한 전통문화를 통해새로운 화예디자인이 창작되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