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초 對日賓禮의 정비와 ‘受隣國書幣儀’The Establishment of the Rites of a Courtesy Call from Japan in early Chosun Dynasty and ‘Suringukseopyeui’

Other Titles
The Establishment of the Rites of a Courtesy Call from Japan in early Chosun Dynasty and ‘Suringukseopyeui’
Authors
윤승희
Issue Date
Sep-2014
Publisher
조선시대사학회
Keywords
A Procedur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倭使肅拜節次’); A Rit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s’(‘日本國使肅拜儀’); Gyorin(交隣); Japanese Envoys; ‘Suringukseopyeui’(‘受隣國書幣儀’); the Rites of a Courtesy Call from Japan; 교린; 대일빈례; 수인국서폐의; 왜사숙배절차; 일본국사숙배의; 일본국왕사
Citation
조선시대사학보, no.70, pp 5 - 39
Pages
35
Journal Title
조선시대사학보
Number
70
Start Page
5
End Page
3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010
ISSN
1226-5705
Abstract
본고는 儀禮라는 틀을 통해 조선초 對日認識의 변화를 살피고, 그에 따른 對日賓禮의 정비과정 및 의미를 ‘受隣國書幣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조선 건국초 대일빈례는 고려말부터 계속된 왜구문제와 관련하여 모색되었고, 또 나름의 외교의례를 갖추기엔 아직 조선 내의 여건이 마련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일본국왕사는 예우의 대상이 아니었다. 일본국왕사를 다소 낮게 평가했던 건국초의 분위기는 세종대에 들어와 이들의 위차가 이전의 4~5품에서 3품으로 격상되며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1425년(세종 7)에는 처음으로 일본국왕사가 등장하는 의례절차를 구체화한 ‘倭使肅拜節次’가 상정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그 의식구조는 일상적인 조회의식과 다를 바 없이 오로지 세종에 대한 일본국왕사의 숙배만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가례의식의 정비와 더불어 세종대 후반 더욱 두드러져, 1448년(세종 30) 상정된 ‘日本國使肅拜儀’의 집사관 및 자리설정은 군신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가례의식의 구조와 동일한 모습을 보였다. 세종대에 보인 대일 의례수준은 ‘수린국서폐의’라는 의주명으로 『세종실록』 「오례」와 『국조오례의』의 빈례항목에 편제되어 공식화되었다. ‘수린국서폐의’의 빈례 편제는 『大唐開元禮』 빈례의 ‘受蕃國使表及幣’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조선이 적어도 철저히 조선의 입장에서, 조선을 나름의 중심으로 설정한 외교질서를 지향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선의 목표는, 『국조오례의』가 그 준비부터 참여자의 입․퇴장 그리고 사배-행례-사배라는 원칙까지 철저히 조하의식의 절차를 공유하는 방향으로 수정된 것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빈례의식에 끼친 가례의 영향은 그 의식구조가 동일하다는 전제 아래 그 설명 일부를 생략한 모습에서도 찾을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일본국왕사의 위차이다. ‘수린국서폐의’에서 이를 생략한 것은 그 의식구조가 조하의식과 동일함을 전제로 했기 때문이다. 『세종실록』 「오례」 이후 종2품으로 격상된 이들의 위차 변화 이유 또한 조하의식의 정비과정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조선은, 중국왕조가 3품 이상 관원의 이동 및 자리를 구분하는 의식절차 내에서 국외사신이 그 구분선의 끝인 3품에 자리한 것과 유사하게, 2품 이상의 관원을 구분하는 조선 나름의 조하의주 정비 이후 그 속에서 일본국왕사의 위상을 고려한 것이다. 즉, ‘수린국서폐의’의 제정은 조선국왕과 그 신하들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의식구조를 통해 조선이 나름의 중심으로 상정된 외교질서를 추구하였음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역사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