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모션그래픽 연출을 위한 시지각적 연구A study on visual perception for effective motion graphics
- Other Titles
- A study on visual perception for effective motion graphics
- Authors
- 박희현
- Issue Date
- Aug-2013
- Publisher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 Keywords
- Motion Graphics; Visual Perceptio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Citation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v.12, no.4, pp 115 - 128
- Pages
- 14
- Journal Title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 Volume
- 12
- Number
- 4
- Start Page
- 115
- End Page
- 128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306
- ISSN
- 2287-4089
- Abstract
- 과학 기술의 발달과 미디어의 확산으로 오늘날 모션그래픽의 활용도는 매우 높아졌다. 하지만 기술 발달과 비교하여 모션그래픽에 대한 기초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와 기본 속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이 어떻게 재해석되어 두뇌에 인지될 수 있는지를 10개의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모션그래픽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를 ‘그래픽’, ‘움직임’, ‘사운드’로 규정하고 세 가지 요소를 시지각적으로 분석하였다. 2차원 공간에서 구현되는 모션그래픽을 사용자들은 3차원 공간으로 인지하고 뇌의 지각 과정을 통해 재해석 된다는 점이 본 연구의 시지각적 접근 이유이다. 연구 결과를 위해 20개의 표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10대에서 40대로 구성된 총 20명의 피험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의 공간감과 주목성을 높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모션그래픽 요소로서 '크기 변화', '색상과 명도 변화', '위치 변화', '물체 경계의 효과', '겹침 효과', '투명도 효과', '판형 선택', '고립 효과', '움직임의 속도', '사운드 효과'로 정리할 수 있었고 이러한 요소들은 사용자의 공간감과 주목성에 깊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의 공간감 증대로 인한 주목성 증가는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모션 그래픽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미술대학 > 시각·영상디자인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