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대 제천의식에 나타난 집단무용과 그 변화Study on Group Dance Appeared in Ancient Harvest Festivals and Relevant Changes

Other Titles
Study on Group Dance Appeared in Ancient Harvest Festivals and Relevant Changes
Authors
민성희
Issue Date
Dec-2012
Publisher
한국무용연구학회
Keywords
Harvest festival; the Group dancing; National Festival; 제천의식; 집단무용; 국중대회
Citation
한국무용연구, v.30, no.3, pp 219 - 246
Pages
28
Journal Title
한국무용연구
Volume
30
Number
3
Start Page
219
End Page
24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325
DOI
10.15726/jkd.2012.30.3.011
ISSN
1975-8502
Abstract
본 논문은 부족국가시대의 제천의식에 나타난 집단무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중국의 <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과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에는 우리의 고대 제천의식에서 춤이 행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부여의 영고(迎鼓)와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그리고 삼한의 계절제에서 모든 사람들이 참여하는 집단 무용이 펼쳐졌다. 이 시대 제천의식에서 집단무용이 가능했던 것은 전문적으로 춤을 추는 전문적인 춤꾼과 관객과의 구분이 아직 이뤄지지 않은 부족국가 시대이었기 때문이다. 이때의 음악과 춤은 단순한 리듬과 동작의 반복으로 모두가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형식이었을 것으로 유추된다. 제천의식에서는 신분의 차별 없이 모두가 참여해 춤을 즐길 수 있었다. 국중대회(國中大會) 규모로 펼쳐진 이 의식에서 집단무용을 통해 부족국가 시대의 공동체를 결집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 시대의 춤은 신앙적 의식무용, 농경무용, 사교적 민요무용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었다. 제천의식의 집단무용은 부족국가시대에서 삼국시대로 넘어가면서 점차 사라진다. 부족국가들이 중앙집권적 국가의 틀을 갖추게 되면서 제천의식에서는 제의적 특성만이 강조되고 참가자는 왕과 귀족으로 제한되었다. 부족국가시대의 제천의식에서 공동체적인 의식을 불러일으키는 국중대회의 특성은 팔관회(八關會)가 이어받았다. 집단무용적 특성은 국가가 아닌 지방의 제천의식에서는 계속 이어져 내려왔다. 동제와 부락제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이과대학 > 무용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