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여성고령자의 한국무용 참여와 β3-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변이 유무가 체력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the existence and the nonexistence of particip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rogram and β3-adrenergic Receptor Gene Mutation of Physical Fitness and immune system for elderly women.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existence and the nonexistence of particip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rogram and β3-adrenergic Receptor Gene Mutation of Physical Fitness and immune system for elderly women.
Authors
박현정
Issue Date
Oct-2010
Publisher
한국무용과학회
Keywords
여성고령자; β3-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한국무용; 체력; 면역기능; elderiy women; β3-adrenergic Receptor Gene; korean traditional dance; Physical Fitness; immunity system; elderiy women; β3-adrenergic Receptor Gene; korean traditional dance; Physical Fitness; immunity system
Citation
한국무용과학회지, no.22, pp 1 - 13
Pages
13
Journal Title
한국무용과학회지
Number
22
Start Page
1
End Page
1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449
ISSN
1229-7836
Abstract
본 연구는 12주간의 한국무용 참여와 β3-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변이 유무가 여성고령자들의 체력,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함이며, 여성고령자(65-72세) 22명을 대상으로 일반 한국무용집단(8명), 비만 유전자 변이 한국무용집단 (6명), 통제집단(8명)으로 나누었다. 한국무용 프로그램은 강강술래(주 3회 40-60%HRR)를 실시하였고, 실험전(0주째), 실험6주 직후, 실험12주 직후에 체력검사와 채혈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K를 이용하여 실험 전 후의 차이검증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시간에 따른 변화검증은 repeated measured ANOVA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은 Duncan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정 수준은 α=.05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되어진 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악력은 A group과 B group에서 운동전에 비해 6주 직후와 12주 직후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집단 간 시간에 따른 악력의 변화량을 비교해 본 결과 6주 직후(p=.048)에는 C group에 비해 A group이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2) 근지구력은 A group에서 운동전에 비해 6주 직후와 12주 직후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B group은 12주 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집단별 시간에 따라 유의한 교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F=5.16, p=.002), 집단 간 시간에 따른 근지구력의 변화량을 비교해 본 결과 6주 직후(p=.013)에는 C group에 비해 A group, B group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12주 직후(p=.004)에서도 C group에 비해 A group, B group 간에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3) 심폐지구력은 운동전에 비해 A group과 B group 모두에서 12주 직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집단별 시간에 따라 유의한 교호작용효과가 나타났고(F=7.55, p=.001), 집단 간 시간에 따른 심폐지구력의 변화량을 비교해 본 결과 12주 직후(p=.001)에는 B group과 C group, A group 간에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4) 유연성은 단별 시간에 따라 유의한 교호작용효과가 나타났고(F=6.97, p=.002), 집단 간 시간에 따른 유연성의 변화량을 비교해 본 결과 12주 직후에 B group과 C group, A group 간에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가 나타났다(p=.002). (5) 평형성은 운동전에 비해 A group에서 12주 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B group은 6주 직후와 12주 직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집단별 시간에 따라 유의한 교호작용 호과가 나타났다(F=7.22, p=.000). 그리고 집단 간 시간에 따른 평형성의 변화량을 비교해 본 결과 6주 직후(p=.002)에 B group과 A group, C group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12주 직후(p=.002)에는 B group과 A group, C group 간에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6) IgG는 운동전에 비해 B group에서 12주 직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C group은 12주 직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7) IgA는 운동전에 비해 A group에서 12주 직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집단별 시간에 따라 유의한 교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F=3.15, p=.039), 집단 간 시간에 따른 IgA의 변화량을 비교해 본 결과 12주 직후에는 C group과 A group 간에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4).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이과대학 > 무용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