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시사만화의 정치적 의제 설정과 프레임 구성에 대한 연구A Study on Construction of Political Meanings by Editorial Cartoons

Other Titles
A Study on Construction of Political Meanings by Editorial Cartoons
Authors
고영신
Issue Date
May-2008
Publisher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Keywords
시사만화; 주제프레임; 후보자 이미지; 의제설정; 신문-정당 병행관계; editorial cartoon; thematic frame; candidate image; agenda-setting; press-party parallelism
Citation
언론과 사회, v.16, no.2, pp 37 - 73
Pages
37
Journal Title
언론과 사회
Volume
16
Number
2
Start Page
37
End Page
7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638
ISSN
1228-954X
Abstract
본 연구는 17대 대선기간 중 중앙 일간신문에 게재된 한 컷짜리 신문만평을 중심으로 시사만화가 선거 국면에서 어떻게 정치적 의제를 설정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시사만화의 의제, 의제별 후보자 등장빈도 및 후보자에 대한 묘사성향, 시사만화의 주제프레임 및 언론사별 차이점 등 4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분석대상 신문사는 한 컷짜리 시사만화를 게재하고 있는 <경향신문>, <국민일보>, <서울신문>, <조선일보>, <한국일보>, <한겨레>를 선정했다. 분석대상 기간 중 6개 신문에 게재된 만평을 모두 수집해 양적, 질적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 언론의 시사만화는 간결한 은유적 표현을 통해 대선후보의 캐릭터와 이미지, 선거캠페인과 이슈를 축약하고, 특정한 주제를 담은 프레임을 독자들에게 제공하는 중요한 정치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사만화가 선거 국면에서 외관상 유사한 의제를 설정하고 주제프레임을 구성, 일반뉴스보도와 마찬가지로 권력 (후보자)에 대한 검증과 감시기제로 작용했다. 셋째,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가 주로 시사만화에 등장했으며, 후보자 묘사성향은 보수, 진보성 향의 신문을 불문하고 부정묘사가 주류를 이뤘다. 넷째, 특정후보와 개별 언론사의 정치적 성향, 이념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한 친소관계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것이 후보자에 대한 비판의 강도 묘사태도 후보자 등장빈도 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 언론이 선진국 수준의 취재보도 자유를 회복했지만 여전히 권언유착 내지 공생관계라는 퇴행적 관행에서 완전히 탈피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