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퇴계 사단칠정론 시각에서 본 승무 염불과장 둘째 마루의 동작 분석적 해석Movement Analytical Interpretation on the invocation part(2st section) of Buddhist Dance under the View Point of Toigye's Four-Seven Debates

Other Titles
Movement Analytical Interpretation on the invocation part(2st section) of Buddhist Dance under the View Point of Toigye's Four-Seven Debates
Authors
김옥순
Issue Date
Jun-2011
Publisher
한국무용사학회
Keywords
the invocation part(1st section) of Buddhist dance; Toigye; four-seven debates; Gyung[Respect] cultivation; LMA(Laban Movement Analysis); Effort; Shape.; 퇴계; 사단 칠정론; 경(敬) 수양론; 승무; 염불과장; 둘째 마루; 에포트(Effort); 쉐이프(Shape)
Citation
한국무용사학, no.12, pp 99 - 128
Pages
30
Journal Title
한국무용사학
Number
12
Start Page
99
End Page
12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662
ISSN
1598-993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퇴계 사단칠정론의 시각에서 승무 염불과장 둘째 마루에 나타난 움직임이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 루돌프 폰 라반(Rudolf Von Laban)의 움직임 분석 체계인 라반동작분석법(LMA)을 적용해 동작 분석적으로 관찰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승무와 퇴계 사단칠정론에 관해서 단행본, 선행 논문들을 수집 분류하여 문헌 연구하였고, 승무 염불과장에서 퇴계의 사단칠정론이 어떻게 움직임으로 구체화 되었는지 루돌프 폰 라반(Rudolf Von Laban)의 움직임 분석 체계인 라반동작분석법(LMA)의 에포트(Effort)와 쉐이프(Shape)를 적용해 관찰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두 명의 공인된 동작 분석가(CMA: Certified Movement Analyst)들의 검증을통하여 정리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03년 10월 30일 서울 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 <대를 잇는 예술혼-명인의 후예들> 공연실황을 녹화한 정재만류 승무 염불과장 24장단 동영상 자료를 참고하였다.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승무 염불과장의 움직임 특성을 네 마루로 나누어 그 중 둘째마루를 LMA의 에포트(Effort)와 쉐이프(Shape) 분석법을 활용하여 관찰 분석한 후퇴계 사단칠정론 시각에서 움직임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무 염불과장 둘째 마루에 나타난 움직임의 에포트(Effort)에서는 주로 ‘조심스러운 흐름(Bound Flow)’, ‘일정한 공간(Direct Space)’, ‘지속적인 시간(Sustained Time)’이 관찰 되었다. 이는 염불과장 움직임 속에 퇴계의 상성성법(常惺惺法)과 엄숙(嚴肅)한 마음가짐이 내재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상성성법과 엄숙한 마음가짐이란 경(敬) 수양론의 궁리를 표현한 내적 실천방법과 통한다. 그리고 쉐이프(Shape)에서는형체가 흐르는(Shape Flow) 움직임과 형체를 만드는(Shaping) 움직임이 관찰 되었다. 이는 염불과장 움직임 속에 정제(整齊)한 몸가짐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했다. 정제(整齊)한 몸가짐은 퇴계의 경 수양론의 거경을 표현한 외적 실천방법과 통한다. 둘째, 승무 염불과장 둘째 마루에 나타난 움직임에서는 형체를 만드는(Shaping) 움직임이 강조되어 나타났다. 이는 예(禮)가 발해서 사랑이 따른 사양지심(辭讓之心)과사랑이 발해서 예(禮)가 거기에 타는 사랑의 감정으로 공경 이미지와 연관된 움직임을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이과대학 > 무용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