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기치료기관 타 영역 치료사의음악치료에 대한 인식Music Therapy Recognitions of Non-Musical Therapists at Early Treatment Institutions

Other Titles
Music Therapy Recognitions of Non-Musical Therapists at Early Treatment Institutions
Authors
오선화
Issue Date
Jun-2008
Publisher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Keywords
조기치료기관; 치료사; 음악치료; 질적연구; 근거이론; early treatment institution; therapist; music therapy;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Citation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12, no.2, pp 305 - 327
Pages
23
Journal Title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ume
12
Number
2
Start Page
305
End Page
327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695
ISSN
2288-4467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조기치료기관 타 영역 치료사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질적인 연구 방법으로 고찰한 것으로 근거이론 접근법(grounded theory)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조기치료기관 타 영역 치료사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인터뷰 한 후 그 내용을 범주화하고 구성원 확인과 동료에게 보고하기의 과정을 포함한 삼각측량을 통해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다. 이 연구에서 타 영역 치료사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은 116개의 개념으로 나뉘어졌으며 이 개념은 다시 10개의 범주로 분류하는 과정을 통하여 결국 3개의 핵심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된 핵심범주를 살펴보면 타 영역 치료사들은 첫 번째 “실행별 인식”에서는 음악치료의 대상, 진행되는 형태와 음악치료 활동들이 다양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 영역별 인식”에서는 음악치료가 양적/질적 접근이 모두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서 아동에게 보조적/일차적 치료로 적용되며 교육적/치료적으로 적용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임상별 인식”에서는 음악치료가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진단평가에 대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거나 고유한 음악치료 진단평가의 부재를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음악치료사의 조건은 교육배경에 따라 그 치료의 내용과 수준에 차이가 있고 음악치료사의 자질로 음악적 기술과 임상적 기술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며 임상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부족함을 성장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