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대적 표상으로서의 여성패션 연구 : 모던 걸(개화기 ~ 1945년)을 중심으로A study on Women Fashion as a Symbol of Modernity : Focusing on Modern Women For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1945 in Korea

Other Titles
A study on Women Fashion as a Symbol of Modernity : Focusing on Modern Women For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1945 in Korea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Nov-2004
Publisher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Keywords
the Fashion of the modern girl; modernistic experience; the liberation will; nationalism; the public domain; the sexual object; the Fashion of the modern girl; modernistic experience; the liberation will; nationalism; the public domain; the sexual object; 모던 걸의 패션; 근대 체험; 해방 의지; 민족주의; 공적 영역; 성적 대상
Citation
아시아여성연구, v.43, no.2, pp 331 - 359
Pages
29
Journal Title
아시아여성연구
Volume
43
Number
2
Start Page
331
End Page
35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7706
ISSN
1225-9241
Abstract
본 연구는 근대화 초기 신여성의 패션을 통해 여성의 다양한 근대 체험들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개화기부터 1945년까지 발간된 신문, 잡지와 이 시기를 연구한 연구논문, 단행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시각적 자료의 보충을 위해 당시의 사진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여성들은 패션을 통해 여성 해방 의지를 표현하였다. 서구식 외모의 추구를 통해 기존의 유교적 도덕관에서 벗어나려고 하였고, 가부장제 하에서의 억압에서 자유스러워지고자 하였다. 둘째, 여성의 패션은 민족의 정체성을 만들어 내려는 민족주의 담론이 투쟁하는 장이었다. 여성의 의복은 여성 자신, 식민세력, 남성이 각각 다른 모습의 민족주의 담론을 적용한 민족주의 담론 투쟁의 장이기도 하였다. 셋째, 여성 패션의 변화는 공적영역으로의 진출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사회경제적 활동을 통해 의복 개량과 양장 착용 등의 변화가 함께 이루어졌다. 넷째, 여성의 패션은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만드는 매개물의 역할을 하였다. 여성은 개혁과 해방의 상징으로 의복을 개량하고 서구화된 외모를 지향하였지만, 남성은 욕망을 일으키는 매개물로 여겼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