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상호매체적 공연에서 배우의 역할 구현의 문제 — 얀 라우어스의 <이사벨라의 방>을 중심으로Actors and Roles in Intermedial Performances —a case of Jan Lauwers' <Isabella’s Room>

Other Titles
Actors and Roles in Intermedial Performances —a case of Jan Lauwers' <Isabella’s Room>
Authors
이진아
Issue Date
Oct-2014
Publisher
한국드라마학회
Keywords
얀 라우어스; <이사벨라의 방>; 상호매체적 공연; 배우; 역할; 자기반영성; 재매개; Jan Lauwers; <Isabella’s Room>; Intermediality; Actor; Role; Self-reflection; Remediation
Citation
드라마 연구, v.44, pp 91 - 127
Pages
37
Journal Title
드라마 연구
Volume
44
Start Page
91
End Page
127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793
DOI
10.15716/dr.2014..44.91
ISSN
1738-9267
Abstract
배우와 역할, 그리고 역할의 형상화는 배우예술의 오랜 문제이다. 허구의 인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배우는 많든 적든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간에 자연인으로서의 개인적 삶과 경험, 그리고 제 자신의 신체적 특징들을 활용한다. 이를 본격적으로 탐색하여 심리적 사실주의 연기술을 확립한 이가 스타니슬랍스키이다. 그러나 그의 시스템은 완성과 더불어 새로운 도전들을 받게 되는데 그중 하나가 브레히트의 서사극이다. 배우와 역할의 문제에 있어 스타니슬랍스키와 다른 관점을 지녔던 브레히트의 연기술은 시스템과 대척점에 선 이론으로 보였고 배우술에 접근하는 서로 다른 두 갈래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만들어내는 가상의 현실과, 우리가 감각할 수 있다고 여기는 실제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오늘의 연극에서 이 두 영역 간의 명확한 구분과 경계는 사실상 불가능해 진다. 무대 위 세계가 단순히 실제(현실)와 가상(모방)의 이분법으로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며, 자기참조적이고 자기반영적인 무대위 배우의 존재 또한 역할(캐릭터)과 역할 수행자(배우)로 명확히 구별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상호매체적 공연에서는 종종 배우의 몸성이 강조되는데, 삶과 무대, 현실과 예술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기호적 몸이 아닌 현상학적 몸, 인식론적 몸이 아닌 물리물질적 몸이 전면에 나서기 시작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배우가 매체로서의 자신을 지우는 투명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매개로서의 성격을 지녔다면 이제 배우는 불투명성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매개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그런데 불투명성의 하이퍼매개로서 무대 위에 존재할수록 역설적으로 배우는 역할을 구현하는 제 자신, 즉 자신의 개성, 자신의 몸 그 자체를 드러내게 된다. 매개한다는 사실이 더 이상 은폐되지 않으며 나아가 그 과정 자체가 전면에 드러나는 것이다. 그렇다고 자신이 맡은 역할에 배우가 정서적으로 합일되지 않거나 관객이 적극적으로 감정이입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오늘의 연극에서 배우와 역할의 정서적 동화와 매체로서의 배우 그 자신을 드러냄은 서로 모순적으로 작용하지않는다. 상호매체적 공연에서 배우의 매체성은 비매개로서의 성격과 하이퍼매개로서의 성격 사이를 끊임없이 진동하며 재매개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상호매체적 공연이 매체성을 전면에 드러낸다는 것은 단순히 각매체의 특성과 서로 간의 차이를 드러낸다는 의미가 아니다. 공연예술 안에서 이질적 매체들은 서로를 논평하고 서로를 재매개한다. 그리고 이 문제의 중심에는 배우의 몸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면서 재현 불가능성의 시대이자 뉴미디어의 시대의 공연예술에서 제기되는 배우의 매체성 문제를 상호매체적 공연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런 후 얀 라우어스의 <이사벨라의 방>을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에서 탈서사, 탈장르, 탈중심의 특징이 형식적 주제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핌으로써 상호매체적 공연에서 배우와 역할 구현의 문제를 고찰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in A photo

Lee, Chin A
문과대학 (한국어문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