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협 모형과 대안적 합리성의 모색Compromise Model and Search for an Alternative Rationality
- Other Titles
- Compromise Model and Search for an Alternative Rationality
- Authors
- 이상원
- Issue Date
- Dec-2013
- Publisher
- 한국하이데거학회
- Keywords
- 타협 모형; 합리주의 모형; 반합리주의 모형; 키처; 쿤; 과학자 공동체; Compromise Model; Rationalist Model; Antirationalist Model; Kitcher; Kuhn; Subgroups of Scientific Community
- Citation
- 현대유럽철학연구, no.33, pp 153 - 185
- Pages
- 33
- Journal Title
- 현대유럽철학연구
- Number
- 33
- Start Page
- 153
- End Page
- 18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177
- ISSN
- 2093-4440
- Abstract
- 키처는 이른바 타협 모형을 제시한다. 타협 모형은 대안적인과학적 합리성을 옹호하기 위해 키처가 제시하는 모형이다. 키처가 타협 모형을 내세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키처는 기존의 합리성을 옹호하는 입장을‘전설’이라고 부른다. 이 전설의 핵심 요소를 담은 과학적 합리성 모형이 바로 합리주의 모형이다. 그런데 키처는 전설에 입각한 이 합리주의 모형이과학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고 본다. 한편 키처는 반합리주의 모형도 비판한다. 반합리주의 모형은 전설이 이야기하는 바의 핵심 요소를 받아들인합리주의 모형을 비판하는 입장이다. 키처는 이 반합리주의 모형 역시 과학활동의 성격을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하여, 키처가 합리주의 모형과 반합리주의 모형 둘 다를 비판하면서 대안으로 제시한 과학적 합리성의 모형이 바로 타협 모형인 것이다. 즉 이 타협 모형은합리주의 모형과 반합리주의 모형을 모두 공격하면서 키처가 제시하는 모형이다. 필자는 키처의 타협 모형의 가치와 의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그는 타협 모형을 지지해주는 주요 사례로서 ‘데본기 대논쟁’을 다루고있다. 필자는 이 사례와 타협 모형의 관계를 또한 검토할 것이다. 논의의 후반부에서는 키처의 타협 모형은 독자성을 지니는 대안적 합리성의 모형이지만, 쿤의 과학철학과 상당히 가깝다는 점을 세밀히 밝히고자 한다. 즉 쿤의과학관과 키처의 타협 모형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논의하게 된다. 이러한논의를 바탕으로 타협 모형은 과학 공동체 내의 ‘하부 그룹’과 연관된 맥락을 잘 설명해 준다는 점을 드러낼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