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임대주택단지의 공동체 활성화 요인에 대한 수요 분석Analysis on the Demands of the Tenants for the Community-Vitalizing Factors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 Other Titles
- Analysis on the Demands of the Tenants for the Community-Vitalizing Factors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 Authors
- 임재현; 최신융
- Issue Date
- Dec-2012
- Publisher
- 한국정책학회
- Keywords
- Permanent Rental Apartment; Residential Community; Factors Affecting Community; Alternatives to Vitalize Community; 영구임대주택; 주거공동체; 공동체 영향요인; 공동체 활성화; Permanent Rental Apartment; Residential Community; Factors Affecting Community; Alternatives to Vitalize Community
- Citation
- 한국정책학회보, v.21, no.4, pp 173 - 198
- Pages
- 26
- Journal Title
- 한국정책학회보
- Volume
- 21
- Number
- 4
- Start Page
- 173
- End Page
- 198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550
- ISSN
- 1226-5497
- Abstract
- 경제발전에 따라 주거 편리성과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수요가 급증한 아파트 생활에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단점도 있다. 특히, 저소득계층이 거주하는 영구임대아파트단지에는 여러 주거문제들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 문제들은 임차가구들의 자발적 노력으로 해결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노력은 미미하고 학문적 연구도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영구임대아파트단지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임차가구들의 수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주요 영구임대주택단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첫째,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지원적 역할이 기대되는 부대복리시설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현재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재배치・활용하여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시설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둘째, 경제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고용기회를 확대하고, 취업정보를 제공하며, 취업교육을 실시하는 동시에 취업시 일정기간 수급권을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동체의 중요성을 교육・홍보함과 동시에 공동체 활동에의 참여를 위한 인센티브와 질서문란행위에 대한 제재를 연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