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2011 글로벌 성 격차지수(GGI)에 대한 고찰: GGI 모형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토A Review of 2011 Global Gender Gap Index (GGI):Validity and Reliability of GGI Model

Other Titles
A Review of 2011 Global Gender Gap Index (GGI):Validity and Reliability of GGI Model
Authors
차용진
Issue Date
Jun-2012
Publisher
한국정부학회
Keywords
global gender gap index; validity; reliability; higher order factor analysis; 성격차지수; 신뢰도; 타당도; 고차요인분석
Citation
한국행정논집, v.24, no.2, pp 299 - 322
Pages
24
Journal Title
한국행정논집
Volume
24
Number
2
Start Page
299
End Page
322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711
ISSN
1229-4756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1에 발표된 성격차지수(GGI)에 초점을 맞춰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GGI의 타당도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 2011 GGI 분석결과, 각 구성개념의 단일차원에서의 타당도 분석결과에서 GGI 구성개념 중 경제참여 및 기회, 교육성취, 건강 및 생존은 구성개념타당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고 교육성취와 건강 및 생존, 교육성취와 정치권한, 건강 및 생존과 정치권한 간의 기준타당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신뢰도 분석결과에서 경제참여 및 기회, 교육성취, 건강과 생존, 정치권한은 신뢰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어 내적일관성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011 GGI 모형검증을 위한 고차요인분석결과에서 GGI모형 적합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고 측정모형에서 경제참여 및 기회의 측정지표인 임금평등, 전문가 및 기술노동자, 교육성취의 측정지표인 문해율, 초등교육 등록률, 중등교육 등록률, 서비스부분 교육 등록률, 건강 및 생존의 측정지표인 출생 성비율, 정치권한의 측정지표인 장관급여성, 여성 정부수장 등의 측정오차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GGI모형과 자료가 잘 부합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는 보다 개선된 GGI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 Yong Jin photo

Cha, Yong Jin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