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능력 개발 :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Lifelong Capability Development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Office Workers
- Other Titles
- Lifelong Capability Development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Office Workers
- Authors
- 김봉환; 이윤희
- Issue Date
- Jun-2010
- Publisher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 Cit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2, no.1, pp 135 - 145
- Pages
- 11
- Journal Title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Volume
- 2
- Number
- 1
- Start Page
- 135
- End Page
- 14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7283
- ISSN
- 2288-405X
2288-4068
- Abstract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이 서로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직장인의 심리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울과 경기, 인천지역의 직장인 264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자아정체감,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를 측정하고, SPSS 12.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대인관계 및 자아정체감의 목표지향성과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자아정체 감은 주도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의 대인관계, 자아수용성,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에 영향을 미쳤으나 자율성과 환경통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주도성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에 부적 영향을 마쳤다. 넷째,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지향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체감 혼미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전체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하위변인 중 삶의 목적을 높이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인들의 직무 만족을 높이고 자아정체감 형성을 높이는 것이 그들의 목표지향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